두 글자 이상의 단어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구성된다.
수식구조는 하나의 어휘가 다른 어휘를 수식하는 구조이다. 다음을 보자.
- 羊肉(양+고기→양고기)
- 中文报(중국어+신문→중국어 신문)
위의 명사는, 명사가 다른 명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大门(큰+문→대문)
- 快车(빠른+차→급행열차)
위의 명사는,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宿舍(잠자다+집→잠자는 집→기숙사)
- 燃料(타다+재료→타는 재료→연료)
위의 명사는, 동사가 명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两边(둘+쪽→양쪽)
- 二叔(둘째+아저씨→둘째 아저씨)
위의 명사는, 수사가 명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那样(그+모양→그런 모양으로→그렇게)
- 这么样(이렇게+모양→이런 모양으로→이렇게)
위의 대사는, 대사가 명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 必要(반드시+요구하다→필요하다)
- 通知(잇다+알다→이어서 알게 하다→통지하다, 알려 주다)
위의 ‘必要’는 부사가 동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이고, ‘通知’는 동사가 동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이다.
- 至大(지극히+크다→지대하다)
- 自足(스스로+만족하다→자족하다)
위의 형용사는, 부사가 형용사를 꾸며 주는 수식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동보구조는 동사와 보어가 결합된 구조이다.
- 拒绝(거부하여 끊다→거절하다)
- 打倒(때려서 넘어지게 하다→타도하다)
위의 ‘拒, 打’는 동사이며, ‘绝, 倒’는 동사결과보어이다.
- 改善(고쳐서 좋게 하다→개선하다)
- 说明(말하여 분명하게 하다→설명하다)
위의 ‘改, 说’는 동사이며, ‘善, 明’은 형용사결과보어이다.
동빈구조는 동사와 빈어가 결합된 구조이다.
- 造船(만들다+배→배를 만들다)
- 放心(놓다+마음→마음을 놓다→안심하다)
위의 ‘造, 放’은 동사이며, ‘船, 心’은 빈어이다.
주술구조는 주어와 술어가 결합된 구조이다.
- 地震(땅+진동하다→땅이 진동하다→지진)
- 性急(성격+급하다→성격이 급하다→성급하다)
위의 ‘地, 性’은 주어이며, ‘震, 急’는 술어이다.
병렬구조는 동등한 자격을 가진 어휘가 연합된 구조이다.
- 大小(크다+작다→크기)
- 父母(아버지+어머니→부모)
위의 ‘大’와 ‘小’, ‘父’와 ‘母’는 동등한 자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첩구조는 동일한 어휘가 중첩된 구조이다.
- 刚刚(방금+방금→방금)
- 妈妈(어머니+어머니→어머니)
위는 단음절어가 중첩된 단어이다.
- 时时刻刻(때+때→항상)
- 子子孙孙(아들+손자→모든 자손)
위는 ‘时刻, 子孙’과 같은 쌍음절어가 중첩된 단어이다.
- 一夫一妻(한 명의 남편과 한 명의 부인→일부일처)
- 一模一样(같은 모양+같은 모양→똑같은 모양)
위의 ‘一夫’와 ‘一妻’는 각각 수식구조의 단어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으며, ‘一模’와 ‘一样’도 각각 수식구조의 단어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다.
- 知己知彼(자기를 알다+상대를 알다→자기를 알고 상대를 알다)
- 有说有笑(말이 있다+웃음이 있다→웃음꽃을 피우며 말하다)
위의 ‘知己’와 ‘知彼’는 각각 동빈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으며, ‘有说’와 ‘有笑’도 각각 동빈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다.
- 人山人海(사람이 산같이 많다+사람이 바다같이 많다→사람이 많다)
- 自言自语(자기가 말하다+자기가 말하다→중얼거리다)
위의 ‘人山’과 ‘人海’는 각각 주술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으며, ‘自言’와 ‘自语’도 각각 주술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다.
- 想来想去(생각해 오다+생각해 가다→이리저리 궁리하다)
- 说来说去(말해 오다+말해 가다→장황하게 지껄이다)
위의 ‘想来’와 ‘想去’는 각각 동보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으며, ‘说来’와 ‘说去’도 각각 동보구조인데 이들이 다시 중첩되어 있다.
접미사란 다른 말의 뒤에 와서 그것을 단어로 만들어 주는 말이다. 중국어의 접미사로는 ‘儿, 子, 头’ 등이 있다. 접미사가 부가된 단어는 다음과 같다.
这儿(여기) | 小孩儿(아이) |
桌子(책상) | 椅子(의자) |
石头(돌) | 木头(목재) |
접두사란 다른 말의 앞에 와서 그것을 단어로 만들어 주는 말이다. 중국어의 접두사로는 ‘第, 老, 初, 可, 非, 不’ 등이 있다. 접두사가 부가된 단어는 다음과 같다.
第一(첫째) | 第二(둘째) |
老大(큰형) | 老二(둘째 형) |
初一(초하루) | 初级(초급) |
可爱(사랑할 만하다→귀엽다) | 可靠(믿을 만하다) |
非法(불법적인) | 非金属(비금속) |
부정접두형용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의 우리말을 보자.
- 도덕(道德) ↔ 부도덕(不道德)
- 합리(合理) ↔ 불합리(不合理)
- 과학적(科学的) ↔ 비과학적(非科学的)
- 경제적(经济的) ↔ 비경제적(非经济的)
위의 ‘부도덕, 불합리, 비과학적, 비경제적’은 ‘도덕, 합리, 과학적, 경제적’이라는 말에 부정을 나타내는 ‘不, 非’가 첨가된 단어로서, 각각 ‘도덕, 합리, 과학적, 경제적’의 반대말이 된다. 영어에도 이러한 현상이 있다.
- like ↔ dislike
- happy ↔ unhappy
- moral ↔ immoral
- regular ↔ irregular
위의 ‘dislike, unhappy, immoral, irregular’는, ‘like, happy, moral, regular’에 부정을 나타내는 ‘dis—, un—, im—, ir—’가 첨가된 단어로서, 각각 ‘like, happy, moral, regular’의 반대말이 된다.
중국어에도 이와 같이 형용사에 ‘不’가 첨가되어 원래 말의 반대말이 되는 경우가 있다.
- 好 ↔ 不好(나쁘다)
- 错 ↔ 不错(훌륭하다)
- 干净 ↔ 不干净(더럽다)
- 好看 ↔ 不好看(보기 싫다)
- 舒服 ↔ 不舒服(불편하다)
- 高兴 ↔ 不高兴(불쾌하다)
- 诚实 ↔ 不诚实(불성실하다)
- 安全 ↔ 不安全(불안전하다)
위와 같이 ‘不’가 형용사에 첨가되어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를 부정접두형용사(否定接头形容词)라고 한다. 이러한 단어는 형용사가 부정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단어로서 원래 단어의 반대말로 사용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不’를 접두사로 취할 수 있는 형용사는 ‘错’와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그 의미가 적극적이거나 긍정적인 것들, 그리고 추상적인 것들이다. 부정접두형용사는 형용사의 부정형과 구별하여 알아 둘 필요가 있다. 다음은 부정접두형용사(否定接头形容词)가 아니라 형용사의 부정형이다.
- 大→不大(크지 않다)
- 高→不高(높지 않다)
- 重→不重(무겁지 않다)
- 矮→不矮(작지 않다)
- 坏→不坏(나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