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는 관형어를 정어(定语)라고 한다. 관형어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붉은 꽃
- 우리 학교
- 우리가 채택한 과학적 방법
- 보존해야 할 열대 지방의 자연 환경
위에서 ‘붉은, 우리’는 각각 명사 ‘꽃, 학교’를 수식하고 있으며, ‘우리가 채택한, 보존해야할’은 명사구 ‘과학적 방법, 열대지방의 자연 환경’을 수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명사나 명사구를 수식하는 말을 관형어라고 한다. 중국어에도 이러한 관형어가 있다. 중국어에서 명사나 명사구를 수식하는 말을 관형어라고 하며,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명사를 중심어(中心语)라고 한다. 관형어는 중심어의 앞에 온다.
- 红花(붉은 꽃)
- 我们学校(우리 학교)
- 第二个人(두 번째 사람)
- 非常好的生活习惯(아주 좋은 생활 습관)
위에서 ‘红, 我们, 第二个’는 명사 ‘花, 学校, 人’을 수식하고 있으며, ‘非常好’는 명사구 ‘生活习惯’을 수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红, 我们, 第二个, 非常好’는 관형어이며, 그들의 수식을 받고 있는 ‘花, 学校, 人, 生活习惯’은 중심어이다.
여러 개의 관형어가 하나의 중심어를 수식할 수도 있다. 다음 우리말을 보자.
- 그가 사 준 아주 재미있는 두 권의 내 동화책
위의 밑줄 친 부분은 모두 관형어이다. 관형어가 길기는 하지만 이 말이 자연스럽게 보이는 이유는 관형어의 어순이 잘 지켜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위의 관형어의 어순을 바꾸어 보자.
- *아주 재미있는 내 두 권의 그가 사 준 동화책
- *내 그가 사 준 아주 재미있는 두 권의 동화책
- *두 권의 그가 사 준 내 아주 재미있는 동화책
위의 우리말이 이상하게 보이는 이유는 관형어의 어순이 바뀌어 있기 때문이다. 중국어에도 여러 개의 관형어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그들이 적절한 순서로 배열되어야 한다. 중국어의 관형어의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지시대사는 수량사의 앞에 온다.
- 那三本书(那: 지시대사, 三本: 수량사, 书: 중심어)
저 세 권의 책
2. 중심어의 성질을 나타내는 관형어는 중심어의 바로 앞에 온다.
- 那三本英文书(那: 지시대사, 三本: 수량사, 英文: 성질을 나타내는 관형어, 书: 중심어)
저 세 권의 영어 책
3. 지량구나 수량구가 단독의 형용사 수식어와 함께 나오면, 단독의 형용사 수식어는 중심어의 바로 앞에 온다. 단독의 수식어를 ‘간단한 수식어’라고 한다.
- 这本好书(这本: 지량구, 好: 간단한 수식어, 书: 중심어)
이 한 권의 좋은 책 - 一个简单的方法(一个: 수량구, 简单: 간단한 수식어, 方法: 중심어)
하나의 간단한 방법
이 순서는 바뀔 수 없다. 따라서 다음은 비문이다.
- *好的这本书
- *简单的一个方法
4. 다른 말의 수식을 받고 있는 형용사구나 동사구, 혹은 주술구 등을 ‘복잡한 수식어’라고 한다.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은 모두 ‘복잡한 수식어’이다.
- 更便宜的东西(更便宜: ‘更’의 수식을 받은 형용사구)
더욱 싼 물건 - 新来的同学(新来: ‘新’의 수식을 받은 동사구)
새로 온 급우 - 他买的书(他买: 주술구)
그가 산 책
지량구나 수량구가 ‘복잡한 수식어’와 함께 나오면, ‘복잡한 수식어’는 지량구나 수량구의 앞뒤에 모두 올 수 있다.
- 新来的一个同学(새로 온 한 명의 급우)
- 一个新来的同学(한 명의 새로 온 급우)
- 你买的那本书(네가 산 그 한 권의 책)
- 那本你买的书(그 한 권의 네가 산 책)
5. 소유를 표시하는 명사나 대사는 언제나 관형어의 맨 앞에 온다.
- 小王的那本中文书(小王的: 소유 표시)
샤오왕의 그 중국어 책 - 我的那三本英文书(我的: 소유 표시)
나의 그 세 권의 영어책
6. 부정접두형용사(否定接头形容词)는 하나의 단어이므로 간단한 수식어이다. 그러므로 중심어의 바로 앞에 와야 한다.
- 那段不愉快的日子(那段: 지량구, 不愉快: 간단한 수식어, 日子: 중심어)
그 힘들었던 나날들 - 一个不明智的举动(一个: 수량구, 不明智: 간단한 수식어, 举动: 중심어)
하나의 바보 같은 행동
‘不愉快, 不明智’를 ‘愉快, 明智’가 부정된 것으로 보아 지량구나 수량구의 앞에 두면 비문이 된다.
- *不愉快的那段日子
- *不明智的一个举动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어[状语] 부사어가 될 수 있는 구(句) (0) | 2015.11.10 |
---|---|
부사어[状语] 부사어가 될 수 있는 품사 (0) | 2015.11.10 |
관형어[定语] ‘多, 少’의 관형어 용법 (0) | 2015.11.10 |
관형어[定语] 관형어와 ‘的’ (0) | 2015.11.10 |
직접빈어와 간접빈어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