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把+빈어+술어’ 형식의 문장을 ‘把’자문이라고 한다. ‘把’자문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자.
- 请大家打开书!
모두들 책을 펴십시오!
→请大家把书打开!(‘把’자문)
모두들 책을 펴십시오! - 我做完了今天的作业。
나는 오늘의 숙제를 다 했다.
→我把今天的作业做完了。(‘把’자문)
나는 오늘의 숙제를 다 했다.
위를 보면 ‘把’가 빈어 ‘书’와 ‘今天的作业’를 동반하여 동사 앞에 나와 있다.
다음은 모두 ‘把’자문이다.
- 我把这本书看完了。
나는 이 책을 다 읽었다. - 他把那些书整理得很好。
그는 그 책들을 잘 정리했다. - 我把那封信写完了。
나는 그 편지를 다 썼다. - 他把这件事告诉她了。
그는 그녀에게 이 일을 말해 주었다.
‘把’자문과 ‘주어+술어+빈어’ 형식의 문장을 우리말로 옮기면 두 문형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어에서 ‘把’자문은 ‘주어+술어+빈어’ 형식의 문장과 엄격하게 구분된다. 이제 어떠한 경우에 ‘把’자문이 사용되는가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어에서 가장 강조되는 말은 문장의 맨 앞에 나오며, 두 번째 강조되는 말은 그 다음에 나온다. 다음을 보자.
- (1) 这本书我看完了。
이 책은 내가 다 읽었다. - (2) 我这本书看完了。
나는 이 책을 다 읽었다.
(1)에서 강조된 것은 ‘这本书’이다. 다시 말하면, ‘这本书’가 주제이다. 이 말은, 예를 들면 ‘이 책은 누가 다 읽었나요?’라는 말의 대답이 된다. (2)에서 강조된 것은 ‘我’이다. 다시 말하면 ‘我’가 주제이다. 이 말은, 예를 들면 ‘누가 이 책을 다 읽었나요?’에 대한 대답이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동작인 ‘看完’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너는 이 책을 다 안 읽었지?’라는 물음에 대하여 ‘천만에요, 이미 다 읽었다고요’라고 대답한다면 이에서는 ‘看完’이라는 행위가 강조된다. 이와 같이 행위를 강조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 (3) 我把这本书看完了。
나는 이 책을 다 읽었다.
다시 다음을 보자.
- (4) 那些书我整理得很好。
그 책은 내가 잘 정리했다. - (5) 我那些书整理得很好。
나는 그 책을 잘 정리했다.
위의 (4)에서 강조된 것은 ‘那些书’이며, (5)에서 강조된 것은 ‘我’이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처리 결과인 ‘整理得很好’를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너는 그 책을 아무렇게나 쌓아 두었겠지?’라는 물음에 대하여 ‘천만에요, 잘 정리해 놓았는데요’라고 대답한다면, 이 대답에서는 그 책을 처리한 결과가 강조된다. 이렇게 처리의 결과를 강조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 (6) 我把那些书整理得很好。
나는 그 책을 잘 정리했다.
(3)에서 강조된 것은 ‘看完’이며, (6)에서 강조된 것은 ‘整理得很好’이다. ‘把’자문은 이와 같이 행위를 강조하거나 처리 결과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把’자문은 중국어에서 대단히 많이 사용되는 문형이지만 어느 경우에 이 문형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외국인이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이는 ‘把’자문의 사용 환경이 아직 충분하게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제 ‘把’자문이 사용되는 환경을 하나하나 살펴 가며 ‘把’자문을 사용하는 중국인의 의식에 접근해 가기로 하자. 먼저 다음의 우리말을 보자.
- (7) (닫혀 있는) 문을 좀 열어 주세요.
- (8) (못 들은 체하지 말고) 문을 좀 열어 주세요.
(7)은 문을 열어 달라는 단순한 요구이다. 그러나 (8)은 화자의 요구를 잘 들어주지 않는 청자에게 약간의 불만을 표시하며 문을 열어 달라는 행위를 강조하고 있다.
- (9) (어느 날인가) 그는 그녀에게 이 일을 말해 주었다.
- (10) (말해서는 안 되는데) 그는 그녀에게 이 일을 말해 주었다.
(9)는 말했다는 사실을 전달해 주는 단순한 문장이다. 그러나 (10)은 해서는 안 되는 행위를 하고 말았다는 행위가 강조되어 있다. 위의 (8)과 (10)을 중국어에서는 ‘把’자문으로 표현한다. 다음을 보자.
- (11) 请打开窓户!
창문 좀 열어 주세요! - (12) 请把窓户打开!
창문 좀 열어 주세요!
(11)은 창문을 열어 달라는 단순한 요구를 나타낸다. 그러나 (12)는 자꾸만 창문을 닫으려는 사람, 혹은 창문을 열어 달라고 이미 말했는데도 못 들었거나, 못 들은 척하는 사람 등에게 할 수 있는 말이다.
- (13) 他告诉了她这件事。
그는 그녀에게 이 일을 말해 주었다. - (14) 他把这件事告诉她了。
그가 그녀에게 이 일을 말해 주었다.
(13)은 ‘누가 그녀에게 이 일을 알려 주었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그러나 (14)는 ‘그녀가 이 일을 알고 있다니 어떻게 된 거야?’라든가 ‘그녀가 어떻게 알고 있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그러므로 (14)에서는 말해 주었다는 행위가 강조되어 있다.
- (15) 我喝了那瓶汽水。
내가 그 사이다를 마셨어. - (16) 我把那瓶汽水喝了。
내가 그 사이다를 마셔 버렸어.
(15)는 ‘누가 사이다를 마셨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일 수 있다. 그러나 (16)은 ‘여기 있던 사이다가 어디 갔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16)에서는 사이다를 처리한 행위가 강조되어 있다.
- (17) 我给你车票。
내가 너에게 차표를 줄게. - (18) 我把车票给你。
내가 너에게 차표를 줄게.
(17)은 ‘누가 나에게 차표를 줄 거야?’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일 수 있다. 그러나 (18)은 ‘나에게 차표를 준다더니 왜 안 주지?’ 등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일 수 있다. 그러므로 (18)에서는 차표를 주는 행위가 강조되어 있다.
- (19) 这小孩儿洗那件衣服洗得很干净。
이 아이가 그 옷을 깨끗하게 빨았습니다. - (20) 这小孩儿把那件衣服洗得很干净。
이 아이가 그 옷을 깨끗하게 빨았습니다.
(19)는 ‘누가 그 옷을 깨끗하게 빨았습니까?’와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일 수 있다. 그러나 (20)은 ‘이 아이는 아직 어리니까 옷을 깨끗하게 빨 수는 없었겠지요?’라는 말에 대한 대답일 수 있다. 그러므로 (20)에서는 아이가 옷을 처리한 행위가 강조되어 있다.
- (21) 把花瓶放在这儿, 把书放在那儿。
꽃병은 여기 놓고, 책은 저기에 놓자.
위는 집을 정리하는 사람이 혼자 중얼거리는 말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왜 꽃병과 책이 아무 데나 있는 거야. 잘 처리하자’라는 의식이 나타나 있다.
‘把’자문은 이상과 같이 화자의 의도와 다른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행위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화자의 의도와 다른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그 상황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현 상황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며 자신의 행위를 강조하기 위한 경우, 또는 행위의 처리를 강하게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把’자문은 화자의 불만이나 청자에 대한 이견의 제시 등을 나타내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중국인은 윗사람에게 ‘把’자문 형식의 명령문을 좀처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문형의 구조상 ‘把’자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把’자문에는 화자의 불만이나 이견의 제시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조동사, 부정부사 ‘不, 没(有)’, 시간사는 일반적으로 ‘把’의 앞에 온다.
- 我想把桌子搬到学校去。(想: 조동사)
저는 책상을 학교로 옮겨 가고 싶습니다.
(=당신은 반대하지만.) - 我不把你当外人看。(不: 부정부사)
나는 너를 남으로 보지 않아.
(=너는 나를 남으로 보지만.) - 他没把照相机带来。(没: 부정부사)
그는 사진기를 가지고 오지 않았다.
(=가지고 올 줄 알았는데.) - 我上午把那本书还给图书馆了。(上午: 시간사)
저는 오전에 그 책을 도서관에 반납했습니다.
(=당신이 보겠다고 했지만.)
‘把’의 빈어는 한정적이어야 한다. 한정적이란, 화자와 청자가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把‘의 빈어는 대개 한정을 나타내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은 한정을 나타내는 관형어이다.
- 他把那本书借走了。
그 사람이 그 책을 빌려 갔다.
(=원래 너에게 빌려 주려고 했는데.) - 我把这个消息告诉了老王。
내가 이 소식을 라오왕에게 말해 주었다.
(=말해 주면 안 되는데.) - 我把你的信放在桌子上了。
내가 당신 편지를 책상 위에 놓아두었다.
(=당신은 갖다 달라고 했지만.) - 我把今天的作业做完了。
나는 오늘의 숙제를 끝냈다.
(=너는 끝낼 수 없다고 말했지만.)
만약 이러한 ‘把’의 빈어를 비한정적 명사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비문이 된다.
- *他把一本书借走了。
그는 책 한 권을 빌려 갔다. - *我把几个消息告诉了老王。
내가 몇 가지 소식을 라오왕에게 말해 주었다. - *我把几封信放在桌上了。
내가 편지 몇 통을 책상 위에 놓아두었다. - *我把有些作业做完了。
나는 몇 가지 숙제를 끝냈다.
위의 관형어 ‘一本, 几个, 几封, 有些’는 모두 비한정적이다. 그러므로 위의 ‘把’자문은 모두 비문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 他把书丢了。
그는 책을 잃어버렸다. - 他把小说看完了。
그는 소설을 다 보았다. - 他把大夫请来了。
그는 의사를 초청해 왔다.
위의 빈어 ‘书, 小说, 大夫’는 한정적 관형어의 수식을 받고 있지 않지만, 대화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가 이미 어떤 책인지, 어떤 소설인지, 어떤 의사인지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把’자문에 사용된 것이다. 비한정적 명사는 절대로 ‘把’의 빈어가 될 수 없다. 다음을 보자.
- (1) 他上了年纪, 经常坐错车。
그는 나이가 들자 곧잘 버스를 잘못 탄다. - (2)*他上了年纪, 经常把车坐错。
그는 나이가 들자 곧잘 버스를 잘못 탄다.
(1)에서 ‘곧잘 잘못 타는 버스’는 일정한 차일 수 없고, 그때마다 다른 버스일 것이므로비한정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명사가 ‘把’의 빈어로 사용된 (2)는 비문이다.
‘把’의 빈어는 동사의 빈어가 아니라 동사구 전체의 빈어인 경우가 있다.
- 他把铅笔写秃了。
그는 연필이 무디어지도록 썼다.
(=그는 연필을 써서 무디게 만들었다.) - 他把嗓子哭哑了。
그는 목이 쉬도록 울었다.
(=그는 울어서 목을 쉬게 했다.)
위에서 ‘铅笔’는 동사 ‘写’의 빈어가 아니라 ‘写秃’의 빈어이며, ‘嗓子’도 동사 ‘哭’의 빈어가 아니라 ‘哭哑’의 빈어이다.
‘把’자문에는 단독의 동사가 나올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모두 비문이다.
- *我把他打。
나는 그를 때린다. - *我把那本书买。
나는 그 책을 산다.
위의 말이 틀린 이유는 ‘打’와 ‘买’가 단독으로 사용된 동사이기 때문이다. ‘把’자문의 동사는 다음 조건 중의 하나 이상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밑줄 친 부분은 해당되는 조건이다. 다음을 보자.
1. 동사 뒤에 빈어가 있는 경우
- 请把表给我。
시계를 제게 주십시오. - 请把这本书给他。
이 책을 그에게 주십시오.
2. 동사가 중첩된 경우
- 请把事情的经过说说。
일의 경과를 한번 말해 주세요. - 你把情况介绍介绍。
상황을 좀 설명해 주세요.
3. 동사에 ‘了’나 ‘着’가 부가된 경우
- 我把电影票丢了。
나는 영화표를 잃어버렸다. - 她把窗户开着。
그녀는 창문을 열어 놓았다.
4. 동사가 동량사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
- 我想把那本书再看一遍。
나는 그 책을 다시 한 번 읽고 싶다. - 你把这个句子分析一下。
네가 이 문장을 한번 분석해 보아라.
5. 동사가 결과보어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
- 大家把书打开。
모두 책을 펴십시오. - 我今天得把这些衣服都洗完。
나는 오늘 이 옷을 모두 빨아야 한다.
6. 동사가 방향보어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
- 请各位把护照拿出来。
각자 여권을 꺼내십시오. - 明天别忘了把那本书带来。
내일 그 책을 가지고 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7. 동사가 정도보어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
- 他把地板擦得很干净。
그는 바닥을 깨끗하게 닦았다. - 她把房间布置得很漂亮。
그녀는 방을 예쁘게 장식했다.
8. 동사 앞에 수사 ‘一’가 있는 경우
- 他把那本书一扔就走了。
그는 그 책을 휙 던지고는 사라져 버렸다. - 他把头一抬瞪了我一眼。
그는 고개를 척 들더니 나를 한 번 뚫어지게 보았다.
9. 동사 앞에 ‘当, 往’ 등의 전치사구가 있는 경우
- 他把酒当水喝。
그는 술을 물처럼 마신다. - 你把手往上抬。
손을 위로 드세요.
중국어에는 ‘주어+동사+빈어’ 형식으로는 말할 수 없고, 오직 ‘把’자문으로 말할 수밖에 없는 문형이 있다. 다음은 이러한 문형이다.
1. 동사가 결과보어 ‘到’를 동반하고, ‘到’ 다음에 처소빈어가 나오는 문형이 있다. 이러한 문장에 대상빈어가 함께 나오면 반드시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다음을 보자.
- (1) 他把车开到火车站去了。
그는 차를 기차역까지 운전해 갔다.
(1)에는 대상빈어 ‘车’와 결과보어 ‘到’의 처소빈어 ‘火车站’이 나와 있다. 이를 ‘주어+동사+빈어’ 구조로 바꾸어 보자.
- (2) 他开到火车站去了。
그는 기차역까지 운전해 갔다.
위의 (2)는 (1)을 ‘동사+到+처소빈어’ 구조로 바꾼 문장이다. 그런데 (2)에는 대상빈어 ‘车’가 들어갈 자리가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와 결과보어 사이에는 어떠한 성분도 들어갈 수 없으므로 당연히 대상빈어 ‘车’도 들어갈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비문이다.
- *他开车到火车站去了。
둘째, 결과보어 ‘到’ 뒤에는 처소빈어가 나와야 하며 대상빈어가 들어갈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비문이다.
- *他开到车火车站去了。
셋째, 대상빈어는 처소빈어 뒤에 올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비문이다.
- *他开到火车站车去了。
넷째, 대상빈어와 처소빈어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에는 동사를 중첩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다음은 비문이다.(이에 대하여는 <3.7.2.2 결과보어와 빈어>를 참고할 것.)
- *他开车开到火车站去了。
이상과 같이 ‘동사+到+처소빈어’ 형식의 문장에 대상빈어가 나오는 경우에는, 대상빈어가 위치할 곳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다음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你把他送到火车站。
당신이 그분을 역까지 데려다 주세요. - 我把那些东西搬到学校去了。
나는 그 물건들을 학교로 옮겼습니다.
2. 동사가 결과보어 ‘在’를 동반하고, ‘在’ 다음에 처소빈어가 나오는 문형이 있다. 이러한 문장에 대상빈어가 나오면 반드시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다음을 보자.
- (1) 他把那本书放在桌子上了。
그는 그 책을 책상 위에 놓았다.
(1)에는 대상빈어 ‘那本书’와 처소빈어 ‘桌子上’이 있다. 이를 ‘주어+동사+빈어’ 구조로 바꾸어 보자.
- (2) 他放在桌子上了。
(2)는 (1)을 ‘동사+在+처소빈어’ 구조로 바꾼 문장이다. 그런데 (2)에는 대상빈어 ‘那本书’가 들어갈 자리가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와 결과보어 사이에는 빈어가 들어갈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비문이다.
- *他放那本书在桌子上了。
둘째, 결과보어 ‘在’ 뒤에는 처소빈어가 나와야 한다. 그러므로 ‘在’ 뒤에 대상빈어 ‘那本书’가 나오면 다음과 같이 비문이 된다.
- *他放在那本书桌子上了。
셋째, 대상빈어는 처소빈어 뒤에 올 수 없다. 그러므로 다음은 비문이다.
- *他放在桌子上那本书了。
넷째, 대상빈어와 처소빈어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에는 동사를 중첩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다음은 비문이다.(이에 대하여는 <3.7.2.2 결과보어와 빈어>를 참고할 것.)
- *他放那本书放在桌子上了。
이상과 같이 ‘동사+在+처소빈어’ 형식의 문장에 대상빈어가 함께 나오는 경우에는 대상빈어가 위치할 곳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다음은 모두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我把皮包忘在教室里了。
나는 가방을 교실에 두고 왔다. - 您把皮包丢在哪儿了?
당신은 가방을 어디에서 잃었습니까?
(=당신은 가방을 어디에 떨어뜨렸습니까?) - 他把汽车停在公园里了。
그는 차를 공원에 세워 놓았다. - 你把这个花瓶摆在桌子上。
너는 이 화병을 책상 위에 놓아라.
3. 대상빈어가 있고, 동사가 결과보어 ‘成, 做’를 취하여 결과빈어를 이끄는 경우에는 ‘把’자문으로 말해야 한다. 그 이유는 위의 경우와 같다.
- 请你把这个句子翻译成英文!
이 문장을 영어로 번역하십시오! - 在中国把coca-cola叫做可口可乐。
중국에서는 코카콜라를 ‘可口可乐’라고 부른다.
4. ‘都, 全, 全部’와 같은 범위부사가 빈어의 범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把’자문을 사용한다. 다음 문장의 ‘都’의 위치를 보자.
- (1) 他们都花完了钱。
그들은 모두 돈을 다 써 버렸다.
(1)의 ‘都’는 ‘그들 모두’가 돈을 써 버렸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都’는 주어 ‘他们’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이 ‘把’자문으로 바꾸어 쓸 수도 있다.
- (2) 他们都把钱花完了。
그들은 모두 돈을 다 써 버렸다.
(2)에서도 ‘都’는 ‘他们’의 범위를 나타낸다. 그러나 ‘돈을 모두’ 써 버렸다는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직 ‘把’자문으로 말해야 하며 ‘都’는 ‘把+빈어’의 뒤에 와야 한다. 다음을 보자.
- (3) 他们把钱都花完了。
그들은 돈을 모두 써 버렸다.
(3)은 그들이 ‘돈을 모두’ 써 버렸다는 것을 나타낸다. ‘全’, ‘全部’가 사용된 다음도 이러한 경우에 속한다.
- 他把那些水果全吃了。
그는 그 과일들을 전부 먹어 버렸다. - 我把那些东西全部卖给了他们。
나는 그 물건을 전부 그들에게 팔았다.
‘把’자문은 대상에 대한 처리를 강조하므로, 처리하는 행위를 나타낼 수 없는 술어는 ‘把’자문에 사용될 수 없다. 다음을 보자.
1. ‘是’와 같이 판단을 나타내는 동사나, ‘有, 在, 像’ 등과 같이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는 ‘把’자문에 사용될 수 없다. 판단이나 상태는 처리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2. ‘喜欢, 知道, 同意, 赞成, 觉得, 怕, 恨, 希望, 要求, 信任, 想像’ 등과 같은 심리동사나 ‘看见, 听见’과 같은 인지동사는 ‘把’자문에 사용될 수 없다. 심리동사나 인지동사는 처리하는 행위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3. ‘上, 下, 进, 出, 回, 到, 过, 起’ 등과 같은 방향동사는 ‘把’자문에 사용될 수 없다. 어떤 처소로 이동하는 것은 대상을 처리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4. 가능보어는 ‘把’자문에 나올 수 없다. 가능보어는 가능성만을 제시하는 것이지 대상을 처리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음을 보자.
- *我把这件事做不完。
→我做不完这件事。
나는 이 일을 해낼 수 없다. - *他把那个电影的内容记不住。
→他记不住那个电影的内容。
그는 그 영화의 내용을 기억할 수 없다.
5. ‘把’자문의 동사는 경험태 ‘过’를 동반할 수 없다. 경험태는 경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지 대상을 처리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 *我把汉语学过。
→我学过汉语。
나는 중국어를 배운 적이 있다. - *我把那封信看过。
→我看过那封信。
나는 그 편지를 본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