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1) 날씨가 춥다.
- (2) 날씨가 추워졌다.
- (3) 어제부터 날씨가 추워졌다.
위의 (1)은 단순히 ‘날씨가 춥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그러나 (2)는 ‘이전에는 날씨가 춥지 않았는데, 이제 추운 상태로 변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물론 (2)에는 ‘이제’라는 말이 없지만, 화자가 말하는 시점이 날씨 변화의 기준이 될 것이다. (3)에는 ‘어제’라는 시간부사가 나와 있다. 따라서 이는 ‘어제부터 날씨가 추운 상태로 변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위의 (2-3)과 같이 변한 상태를 나타내는 용법이 중국어에도 있다. 중국어에서는 이를 변화태라고 한다.
중국어에서 변화태는 ‘了’로 표시된다. 변화태 ‘了’는 언제나 문장의 끝에 온다. 변화태 ‘了’가 들어간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 [A]+[了]
A가 의미하는 상태로 이제 변하다.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위를 참고하여 다음을 살펴보자.
天气冷了。 | ||
[天气冷] | + | [了] |
[날씨가 춥다] | + | [이제 이러한 상황으로 변했다] |
이제 날씨가 추워졌다. | ||
(=이전에는 춥지 않았는데 이제는 추운 상태로 변했다.) |
위의 ‘이제’라는 시점은 화자가 말을 하는 시점이다. 다음을 보며 변화태 ‘了’의 기능을 익혀 두자.
雪大了。 | ||
[雪大] | + | [了] |
[눈이 많이 내리다] | + | [이제 이러한 상황으로 변했다] |
이제 눈이 많이 내리기 시작했다. | ||
(=아까는 이렇게 많이 내리지 않았는데, 이제 많이 내리는 상태로 변했다.) | ||
他是大学生了。 | ||
[他是大学生] | + | [了] |
[그는 대학생이다] | + | [이제 이러한 상황으로 변했다] |
그는 이제 대학생이 되었다. | ||
(=이전에 그는 대학생이 아니었는데, 이제 대학생인 상태로 변했다.) |
변화태 ‘了’는 부정문에도 나올 수 있다.
我不去了。 | ||
[我不去] | + | [了] |
[나는 가지 않는다] | + | [이제 이러한 상황으로 변했다] |
나는 이제 못 가게 되었어. | ||
(=원래 나는 가려고 했는데, 이제 가면 안 되는 상태로 변했다.) |
다음을 보며 변화태 ‘了’의 용법을 익혀보자.
- 天气热了。
날씨가 이제 더워졌다.
(=이전에는 덥지 않았다.) - 他没钱了。
그는 이제 돈이 없다.
(=이전에는 돈이 있었다.) - 他是科长了。
그는 이제 과장이 되었다.
(=이전에는 과장이 아니었다.) - 明天他不能来了。
내일 그는 올 수 없게 되었다.
(=조금 전까지는 올 수 있는 상황이었다.)
정도부사 ‘太’가 나오는 문장에는 일반적으로 변화태 ‘了’가 나온다.
- 天气太好了。
날씨가 너무 좋아요. - 这件衣服太贵了。
이 옷은 너무 비싸군요.
그러나 ‘太’ 이외의 정도부사 ‘很, 非常, 相当, 十分, 挺, 真, 最’ 등이 나오는 문장에는 변화태 ‘了’가 오지 않는다.
- *天气很好了。
- 天气很好。
날씨가 좋다. - *他非常用功了。
- 他非常用功。
그는 대단히 열심이다. - *这儿相当热了。
- 这儿相当热。
여기는 상당히 덥다. - *我觉得十分满意了。
- 我觉得十分满意。
나는 충분히 만족한다. - *今天挺冷了。
- 今天挺冷。
오늘은 매우 춥군요. - *她穿的衣服真漂亮了。
- 她穿的衣服真漂亮。
그녀가 입은 옷은 정말 예쁘네요. - *他的成绩最高了。
- 他的成绩最高。
그의 성적이 가장 높다.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더라도 부사 ‘已经’이 오는 경우에는 변화태 ‘了’가 올 수 있다. ‘已经’은 사태가 이미 변한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음을 보자.
- 他的病已经很好了。
그의 병은 이미 아주 좋아졌다. - 他已经十分满意了。
그는 이미 대단히 만족한다. - 他的成绩已经相当好了。
그의 성적은 이미 상당히 좋아졌다. - 时间已经非常晚了, 咱们该回去了。
시간이 이미 대단히 늦었으니, 우리는 이제 돌아가야 합니다.
변화태의 기능으로 인하여 다음 문장은 두 가지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1) 他去学校了。
a. 그는 학교에 가 있다.
b. 그는 학교에 갔다 왔다.
만약 밤새 감기로 고생하던 아이가 아침에 보이지 않자, 남편이 아내에게 ‘아이가 어디 있지요?’라고 물었다고 하자. 이때 아내가 (1)로 대답했다면, 이는 (a)의 의미가 된다. (a)는 ‘학교에 간 것으로 이제 변해 있는 상태’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저녁에 그 아이가 집에 있는 것을 보고, 남편이 아내에게 ‘아이가 학교에 갔었나요?’라고 물었다고 하자. 이때 아내가 (1)과 같이 대답했다면, 이는 (b)의 의미가 된다. (b)는 ‘학교에 가게 된 상태로 이제 변했다’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다음을 보자.
- 他去中国了。
그는 중국에 가 있다.
그는 중국에 갔다 왔다. - 他上班了。
그는 출근해서 직장에 있다.
그는 직장에 갔다 왔다.
변화태 ‘了’가 과거 표시 시간사와 함께 나오면, 시간사가 표시하는 시점이 변화가 발생한 시점이다.
他昨天去上海了。 | ||
[他昨天去上海] | + | [了] |
[그는 어제 상하이에 갔다] | + | [이러한 상황으로 어제 변했다] |
그는 어제 상하이로 갔다. | ||
(=그가 상하이에 간 상태로 변한 것은 어제이다.) |
다음을 보며 이러한 용법을 익혀 두자.
- 昨天晚上下雨了。
어제 저녁에 비가 내렸다.
(=어제 저녁 이전에는 비가 내리지 않았다.) - 我昨天才知道他去韩国了。
나는 어제야 그가 한국에 갔다는 것을 알았다.
(=어제 이전까지는 몰랐다.)
변화태 ‘了’가 나오는 말에 시간사가 없으면, 상태가 변한 시점은 화자가 말하는 시점이다. 다음을 보자.
- 他去上海了。
그는 이제 상하이로 갔다. - 我会游泳了。
나는 이제 수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미래를 나타내는 시간사가 오더라도 변화의 시점은 화자가 말하는 시점이다.
我明天不去了。 | ||
[我明天不去] | + | [了] |
[나는 내일 가지 않는다] | + | [이러한 상황으로 이제 변했다] |
나는 내일 가지 않을 거야. | ||
(=원래는 내일 가려고 했으나, 내일 가지 않기로 이제 마음을 먹었다.) |
다음을 보며 이러한 용법을 익혀 두자.
- 我明天没有课了。
나는 내일 수업이 없어졌다.
(=내일 수업이 없는 사태로 변한 것은 지금이다.) - 我明天上班了。
나는 내일부터 출근을 하게 되었다.
(=내일 출근하게 되는 상태로 변한 것은 지금이다.)
변화태 ‘了’는 다음과 같은 문형에 사용된다.
1. 변화태 ‘了’는 명사술어문에 사용될 수 있다.
- 现在三点了。
이제 3시가 되었습니다. - 现在一斤十块钱了。
한 근이 이제 10위안이 되었네요.
2. 변화태 ‘了’는 형용사술어문에 사용될 수 있다.
- 校园里的花儿红了。
교정의 꽃이 이제 붉어졌습니다. - 现在我不忙了。
이제 나는 바쁘지 않게 되었습니다.
3. 변화태 ‘了’는 동사술어문에 사용될 수 있다.
- 我有钱了。
나는 이제 돈이 생겼습니다. - 他会说汉语了。
그는 이제 중국어를 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변화태 ‘了’는 주술술어문에 사용될 수 있다.
- 他年龄已经不小了。
그는 나이가 이미 많습니다. - 他中文水平已经很高了。
그는 중국어 수준이 이미 높아졌습니다.
5. 변화태 ‘了’는 부정문에 사용될 수 있다.
- 我没钱了。
나는 이제 돈이 없는 상태입니다. - 他不能喝酒了。
그는 이제 술을 마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6. ‘极’가 결과보어로 사용되는 문장에는 변화태 ‘了’가 나온다. 그 이유는, 최고의 정도는 언제나 존재하는 상태가 아니므로, 최고의 상태가 되었다는 것은 곧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상태로 변한 것이기 때문이다.
- 我饿极了。
나는 몹시 배가 고프다. - 最近她忙极了。
요즈음 그녀는 대단히 바빠졌다.
7. ‘多’가 결과보어로 사용되는 문장에는 변화태 ‘了’가 나온다. 그 이유는 결과보어 ‘多’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차이가 큰 상태는 곧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상태로 변한 것을 의미하므로 변화태 ‘了’를 동반한다.
- 他的病好多了。
그의 병은 훨씬 좋아졌다. - 这儿方便多了。
이곳은 많이 편리해졌다.
8. ‘死’가 결과보어로 사용되는 문장에는 변화태 ‘了’가 나온다. 그 이유는, 극한적인 정도는 언제나 존재하는 상태가 아니므로 극한적 상태가 되었다는 것은 곧,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상태로 변화했다고 중국인들은 생각하기 때문이다.
- 我饿死了。
나는 배가 고파 죽겠다. - 笑死了。
우스워 죽겠다.
하나의 문장에 변화태 ‘了’와 완료태 ‘了’가 함께 나올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과거에 어떤 동작 행위가 발생했고, 그 결과 지금 어떠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을 보자.
- 汉语他学了两年。
그는 중국어를 이 년 동안 배웠다.
앞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学了两年’의 ‘了’는 동작동사 다음에 나왔으므로 완료태이다. 이 말은 ‘그가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이 년 동안 중국어를 배우는 행위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는 중학교 시절에 이 년 동안 중국어를 배웠을 수도 있고, 아니면 고등학교 시절에 중국어를 이 년 동안 배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을 보자.
- 汉语他学了两年了。
중국어를 그는 이 년째 배우고 있다.
(=이제 이 년이 된 상태로 변했다.)
위의 ‘学了’의 ‘了’는 동작동사 다음에 나왔으므로 완료태이고, 문장 끝의 ‘了’는 변화태이다. 이 문장은 ‘중국어를 배운 행위가 발생했고, 그 행위는 이 년 동안 계속되었는데, 지금 바로 이 년이 되는 상태로 변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는 ‘지금 이 년째 중국어를 배우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다시 다음을 보자.
- 他到了上海了。
- 그는 상하이에 도착했다.
위의 ‘到了’의 ‘了’는 동작동사 다음에 나왔으므로 완료태이고, 문장 끝의 ‘了’는 변화태이다. 이 문장은 ‘상하이에 도착했고, 지금 그러한 상태로 변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는 상하이에 도착하여 지금 상하이에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他到了上海’는 도착한 행위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는 지금 상하이에 있을 수도 있지만, 상하이에 도착한 후에 이미 다른 곳으로 갔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을 보며 이러한 용법을 익혀 두자.
- 他去了一年了。
그가 간 지 이제 일 년이 되었다. - 他哭了一整天了。
그는 하루 종일 울고 있다. - 我吃了两碗饭了。
나는 밥을 두 그릇째 먹고 있다. - 我等了他一个小时了。
나는 지금 그를 한 시간째 기다리고 있다.
완료태 ‘了’의 빈어는 원칙적으로 한정적 명사여야 한다. 그러나 완료태 ‘了’와 변화태 ‘了’가 함께 나오는 문장에는 비한정적 빈어가 올 수 있다.
- 我吃了饭了。
나는 식사를 했어요. - 我洗了澡了。
나는 목욕을 했습니다. - 我交了钱了。
나는 돈을 냈습니다. - 我投了票了。
나는 투표를 했습니다.
위의 빈어는 모두 비한정적 빈어이다. 그러나 변화태는 이미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므로 그 문장의 빈어는 한정적 표시만 없을 뿐, 이미 한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형용사로 끝나는 문장에 ‘了’가 왔다면 이는 당연히 변화태 ‘了’이다. 왜냐하면 완료태 ‘了’는 동작동사의 뒤에만 나오고 형용사 뒤에는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了’는 당연히 변화태 ‘了’이다.
- 他胖了。
그는 살이 쪘다. - 他瘦了。
그는 살이 빠졌다.
그러나 문장이 동작동사로 끝나고 그 뒤에 ‘了’가 나왔다면, 그것이 동작동사의 뒤에 나온 완료태 ‘了’인지 아니면 문장의 끝에 나온 변화태 ‘了’인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다음을 보자.
- 他去了。
그가 갔다. - 他到了。
그가 도착했다.
위의 ‘了’는 문장 끝에 왔으므로 변화태 ‘了’일 수도 있고, 동작동사 다음에 왔으므로 완료태 ‘了’일 수도 있다. 이러한 ‘了’는 완료태이거나, 완료태와 변화태의 두 가지 기능이 합쳐진 ‘了’이다.
- 我的家乡变了。
나의 고향은 변했다.(완료태)
나의 고향은 변했고, 지금 그러한 상태에 있다.(완료태+변화태) - 练习我做完了。
숙제를 나는 다 했다.(완료태)
숙제를 나는 다 했고, 이제 그러한 상태에 있다.(완료태+변화태)
위의 ‘了’가 완료태인지 ‘완료태+변화태’ 형식인지는 문맥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이를 부정형으로 바꾸면 이 가운데의 어느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변화태 ‘了’는 ‘이제 어떠한 상태로 변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의 부정형은 ‘아직 어떤 상태가 아니다’일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변화태 ‘了’는 ‘还不’로 부정된다. 이 부정문에는 변화태 ‘了’가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을 보자.
- 天气热了。
날씨가 이제 더워졌다. - 天气还不热。
날씨가 아직 덥지 않다. - 他是大学生了。
그는 이제 대학생이 되었다. - 他还不是大学生。
그는 아직 대학생이 아니다.
완료태의 ‘了’와 변화태의 ‘了’가 모두 나오면 ‘还没(有)’로 부정된다. 이 부정문에도 ‘了’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음을 보자.
- 他吃了饭了。
그는 식사를 한 상태이다. - 他还没(有)吃饭。
그는 아직 밥을 먹지 않았다. - 他听了新闻了。
그는 뉴스를 들은 상태이다. - 他还没(有)听新闻。
그는 아직 뉴스를 듣지 못했다.
동작동사로 끝난 문장 끝에 ‘了’가 오는 경우, 이 ‘了’가 완료태 ‘了’와 변화태 ‘了’가 합쳐진 경우라면 ‘还没(有)’로 부정된다. ‘还没(有)’는 변화태의 부정형인 ‘还不’의 ‘还’와 완료태의 부정형인 ‘没(有)’가 합쳐진 것이다. 이 부정문에도 ‘了’는 나오지 않는다. 다음을 보자.
- 他们走了。
그들은 갔다. - 他们还没(有)走。
그들은 아직 가지 않았다. - 我的家乡变了。
나의 고향은 변했다. - 我的家乡还没(有)变。
나의 고향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
만약 위 문장의 ‘了’가 완료태 ‘了’로 사용되었다면 당연히 ‘没(有)’로 부정된다. 이 부정문에도 ‘了’는 나오지 않는다. 다음을 보자.
- 他们走了。
그들은 갔다. - 他们没(有)走。
그들은 가지 않았다. - 我的家乡变了。
나의 고향은 변했다. - 我的家乡没(有)变。
나의 고향은 변하지 않았다.
완료태 ‘了’는 부정문에 나오지 않으므로, 부정문에 ‘了’가 나왔다면 이 ‘了’는 언제나 변화태 ‘了’이다. 다음을 보자.
- 他不是学生了。
그는 이제 학생이 아니다. - 我不喜欢电脑了。
나는 이제 컴퓨터를 싫어하게 되었다.
변화태 ‘了’가 있는 문장의 끝에 ‘吗’를 첨가하면 의문문이 된다.
- 你吃饭了吗?
너는 밥을 먹었니? - 你打电话了吗?
너는 전화를 했니?
변화태 ‘了’가 있는 문장의 끝에 ‘没有’를 첨가해도 의문문이 된다.
- 你吃饭了没有?
너는 밥을 먹었니, 안 먹었니? - 你打电话了没有?
너는 전화를 했니, 안 했니?
완료태의 ‘了’와 변화태의 ‘了’가 합쳐진 ‘了’가 나오는 문장에도 ‘吗’, ‘没有’를 첨가하면 의문문이 된다.
- 他们到了。
그들이 지금 도착했다. - 他们到了吗?
그들이 도착했습니까? - 他们到了没有?
그들이 도착했습니까, 안 했습니까? - 他们走了。
그들은 갔다. - 他们走了吗?
그들은 갔습니까? - 他们走了没有?
그들은 갔습니까, 안 갔습니까?
변화태의 기능으로 인하여 다음의 의문문은 두 가지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 他去学校了吗?
그는 학교에 가 있습니까?
그는 학교에 갔다 왔습니까? - 他上班了吗?
그는 출근해서 직장에 있습니까?
그는 직장에 갔다 왔습니까?
위 문장의 의미는 앞뒤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别’가 사용된 명령문에 변화태 ‘了’가 나오면 부드러운 명령이 된다.
- 别走!
가지 말아라! - 别走了!
가지 마세요!
‘别走’는 단순한 명령을 나타낸다. 그러나 ‘别走了’는 ‘이제 가지 말아야 하는 상태로 변했으니 가지 마세요’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别走了’는 ‘别走’보다 훨씬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낸다. 다음을 보며 이러한 용법을 익혀보자.
- 别哭了!
울지 말아라! - 别客气了, 收下吧!
사양하지 말고 받아 두시지요!
‘甭’이 사용된 명령문에는 일반적으로 변화태 ‘了, 啦’가 나온다. 이 경우에도 변화태 ‘了, 啦’는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낸다. ‘啦’는 ‘了’와 ‘啊’가 합쳐진 형태이다.
- 下次你甭来啦!
다음에는 오지 마십시오! - 这个问题甭提了!
이 문제는 거론하지 마십시오!
진술문에서도 변화태 ‘了’는 부드러운 어감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 我先走。
나 먼저 간다. - 我先走了。
나 먼저 갈게.
(=나는 먼저 가야 하는 상태로 변했어.)
(=나는 먼저 가야겠다고 마음먹게 되었어.)
위의 ‘我先走’는 화가 났거나 이곳이 못마땅해서 먼저 간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我先走了’는 ‘내가 이제 가야 하는 상황으로 변했다’라는 의미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부드러운 표현이 된다.
【출처 :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허성도교수 강의】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행태(进行态) (0) | 2015.11.02 |
---|---|
경험태(经验态) (0) | 2015.11.02 |
완료태와 빈어 (0) | 2015.11.02 |
주술술어문(主述述语文) (0) | 2015.11.02 |
형용사술어문(形容词述语文) (0) | 2015.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