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는 접속사를 연사(连词)라고 한다. 접속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1) 그는 책과 만년필을 모두 가지고 있다.
- (2) 내가 가는 것이나 네가 가는 것이나 결과는 같다.
- (3) 그가 책을 빌리러 왔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책을 빌려 주었다.
(1)의 ‘과’는 ‘책, 만년필’과 같은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2)의 ‘~이나’는 ‘내가 가는 것’과 ‘네가 가는 것’이라는 구(句)를 연결하고 있다. (3)의 ‘그래서’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하고 있다. 중국어에도 이와 같이 단어, 구, 문장을 연결해 주는 말이 있다. 이를 접속사라고 한다.
접속사는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성분을 긴밀하게 연결한다. 그러므로 접속사로 연결되는 성분, 즉 ‘A+접속사+B’ 사이에는 부사어나 조동사와 같은 다른 성분이 들어갈 수 없다. 접속사는 병렬, 첨가, 연관(联关), 점층(渐层), 선택, 전환, 가정, 양보, 조건, 원인, 목적 등을 나타낸다.
‘即使’와 ‘就是’는 ‘비록 ……라 할지라도’와 같은 양보를 나타낸다. 뒤의 문장에는 대개 ‘也’가 나온다. ‘即使A’와 ‘就是A’의 ‘A’는 가정된 상황이다. 이 ‘A’는 발생할 수도 있지만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即使下雨, 我也要去。
비가 온다고 해도 나는 갈 것입니다. - 即使你不告诉我, 我也知道。
당신이 제게 말해 주지 않는다고 해도 저는 압니다. - 你就是趕到机场, 也来不及了。
당신이 공항에 서둘러 도착할지라도 시간이 늦었습니다. - 他就是知道, 也不怕。
그가 안다고 해도 두렵지 않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连词] ‘只要’, ‘只有’ (0) | 2015.11.10 |
---|---|
접속사[连词] ‘盡管’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虽然’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要不’, ‘不然’, ‘要不然’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要’, ‘要是’ (0) | 201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