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는 접속사를 연사(连词)라고 한다. 접속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1) 그는 책과 만년필을 모두 가지고 있다.
- (2) 내가 가는 것이나 네가 가는 것이나 결과는 같다.
- (3) 그가 책을 빌리러 왔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책을 빌려 주었다.
(1)의 ‘과’는 ‘책, 만년필’과 같은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2)의 ‘~이나’는 ‘내가 가는 것’과 ‘네가 가는 것’이라는 구(句)를 연결하고 있다. (3)의 ‘그래서’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하고 있다. 중국어에도 이와 같이 단어, 구, 문장을 연결해 주는 말이 있다. 이를 접속사라고 한다.
접속사는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성분을 긴밀하게 연결한다. 그러므로 접속사로 연결되는 성분, 즉 ‘A+접속사+B’ 사이에는 부사어나 조동사와 같은 다른 성분이 들어갈 수 없다. 접속사는 병렬, 첨가, 연관(联关), 점층(渐层), 선택, 전환, 가정, 양보, 조건, 원인, 목적 등을 나타낸다.
‘越A越B’는 ‘A’가 심화될수록 ‘B’의 정도도 더욱 심화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 雨越下越大。
비가 오면 올수록 더 크게 내린다. - 这首歌我越听越爱听。
이 노래는 들을수록 더 듣고 싶다.
‘A,B’의 주어는 다를 수도 있다.
- 大家越讨论, 问题就越清楚。
모두가 토론을 할수록 문제점이 더욱 분명해졌다. - 我越着急, 他越不告诉我。
내가 초조해할수록 그는 나에게 더 알려 주지 않았다.
‘越来越B’는 시간이 흐를수록 어떤 상황이 ‘B’로 발전,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 你越来越胖了。
너는 갈수록 뚱뚱해지는구나. - 天气越来越冷了。
날씨가 갈수록 추워집니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连词] ‘还是’, ‘或者’ (0) | 2015.11.07 |
---|---|
접속사[连词] ‘不是A, 而是B’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除了A以外, (也, 还, 都)B’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不但A, 而且B’, ‘不仅A, 而且(也, 还)B’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以及’ (0) | 201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