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 Míngtiān nǐ lái
ma? |
1 : 내일 오실 건가요? |
明天你来吗? | ||
![]() ![]() |
2 : Bù lái. |
2 : 못 옵니다. |
不来。 | ||
![]() ![]() |
3 :
Wèishénme? |
3 : 왜요? |
为什么? | ||
![]() ![]() |
4 : Wǒ yǒu diǎnr
shìr. |
4 : 일이 좀 있어서요. |
我有点儿事儿。 | ||
![]() ![]() |
5 : Nà hòutiān lái bù
lái? |
5 : 그러면 모레는 오시나요? |
那后天来不来? | ||
![]() ![]() |
6 : Hòutiān kěyĭ, néng
lái. |
6 : 모레는 괜찮습니다, 올 수 있습니다. |
后天可以,能来。 |
![]() |
![]() |
![]() |
三 | 3, 셋 | |
明天 | 내일 | |
来 | 오다 | |
为什么 | 왜 | |
有 | 있다 | |
点儿 | 조금, 약간 | |
事儿 | 일 | |
那 | 그러면, 그렇다면 | |
后天 | 모레 | |
可以 | 괜찮다, 가능하다 | |
能 | 할 수 있다 |
![]() |
![]() | |
来, 不来, 来不来 | ||
![]() |
![]() |
![]() |
![]() | |
为什么 | ||
![]() |
![]() |
![]() |
![]() | |
(一)点儿 | ||
![]() |
![]() |
![]() |
![]() |
1. 为什么)
( ’는 영어의 / /와 같이 입술을 앞으로 힘주어 내민 상태에서 발음한다. 이는 반모음이며 반자음이다. 그러므로 반은 자음처럼 입술 사이에서 강한 마찰을 일으키며 발음해야 한다.2. 我有点儿事儿)
(3. 来不来)
(![]() |
![]() |
1. 事儿), (点儿)
(‘ (点)+ (儿)’과 같이 ‘ ’으로 끝나는 낱말 다음에 ‘ ’이 오는 경우에는 ‘ ’가 생략되고 ‘ ’만 표기한다. 이 경우 실제 발음에서는 앞의 ‘ ’은 발음하지 않는다.
표기 실제음
点儿 →
慢慢儿 →
儿化
2. 来不来)
(![]() |
![]() |
1. 동사는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있다.
2. 시간을 표시하는 말이 문장의 앞에 올 수 있다.
3. ‘不’는 동사 앞에 와서 부정형을 만든다.
4. ‘为什么’는 이유를 묻는 의문사이다.
5. ‘一点儿’은 형용사나 동사 뒤에 와서 경미한 정도 혹은 수량의 적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일반적으로 ‘一’는 생략된다.
6. ‘事儿’의 ‘儿’는 다른 단어의 뒤에 와서 원래의 단어를 권설음(卷舌音)으로 만든다. 이렇게 변화된 권설음(卷舌音)을 ‘儿化韵’이라고 한다. ‘儿化韵’은 북경의 방언적 색채가 강한 음이지만 일부의 ‘儿化韵’은 중국 전역에서 사용된다.
7. ‘동사+不+동사’의 형태로 의문문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의문문 뒤에는 의문조사 ‘.吗’가 올 수 없다.
【출처 :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허성도교수 강의】
'간단중국어 > 생활회화-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最近忙不忙? 요즘 바쁘세요? (0) | 2015.11.06 |
---|---|
你有沒有油笔? (0) | 2015.11.06 |
你是韩国人吗? (0) | 2015.11.06 |
你好! (0) | 2015.11.06 |
请 问, 去王府井坐几路车? (0) | 201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