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인기 여행지의 여행정보 및 숙박시설 안내 ◐ 

가나 * 가봉 * 가이아나 * 감비아 * 과달루프 * 과테말라 *  * 그레나다 * 그리스 * 그린란드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 * 네덜란드 * 네팔 * 노르웨이 * 노퍽 섬 * 뉴 칼레도니아 * 뉴질랜드 * 니우에 * 니카라과 * 대만 * 대한민국 * 덴마크 * 도미니카 * 도미니카 공화국 * 독일 * 동티모르 * 라오스 라이베리아 * 라트비아 * 러시아 * 레바논 * 레소토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르완다 * 리비아 * 리유니언 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마다가스카르 * 마르티니크 * 마요트 * 마카오 * 말라위 * 말레이시아 * 말리 * 모나코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디브 * 몰타 * 몽골 * 미국 *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 미얀마 * 미크로네시아 * 바누아투 * 바레인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방글라데시 * 버뮤다 * 베냉 * 베네수엘라 * 베트남 * 벨기에 * 벨로루시 * 벨리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츠와나 * 볼리비아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부탄 * 북마리아나 군도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브라질 * 브루나이 * 사모아 * 사우디 아라비아 * 산마리노 * 상투메프린시페 * 생 바르텔레미 * 세네갈 * 세르비아 * 세이셸 * 세인트 루시아 * 세인트 마틴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솔로몬 제도 * 수리남 * 스리랑카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시에라리온 * 신트마르텐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루바 * 아르메니아 * 아르헨티나 * 아이슬란드 * 아이티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알제리 * 앙골라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에스와티니 * 에스토니아 * 에콰도르 * 에티오피아 * 엘살바도르 * 영국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 오만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리아 * 온두라스 * 요르단 * 우간다 * 우루과이 * 우즈베키스탄 * 우크라이나 * 이라크 이스라엘 * 이집트 * 이탈리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자메이카 * 잠비아 * 적도 기니 * 조지아 * 중국 * 지부티 * 지브롤터 * 짐바브웨 * 차드 * 체코 * 칠레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캐나다 * 케냐 * 케이맨 제도 * 코모로 * 코소보 * 코스타리카 * 코트디부아르 * 콜롬비아 * 콩고 * 콩고 민주 공화국 * 쿠라카우 * 쿠바 * 쿠웨이트 * 쿡 제도 * 크로아티아 * 크림 반도 * 키르기스스탄 * 키리바시 * 키프로스 타지키스탄 * 탄자니아 * 태국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토고 * 통가 * 튀니지 * 튀르키예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파키스탄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팔레스타인 지역 * 페로 제도 * 페루 * 포르투갈 * 폴란드 * 푸에르토리코 * 프랑스 * 프랑스령 기아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피지 * 핀란드 * 필리핀 * 헝가리 * 홍콩

여행지와 숙소를 직접 검색 하시려면 아래 검색창을 이용 하세요.◐

Booking.com

어법*총정리

의문대사(疑问代词)

1인 MC 2015. 11. 5. 11:13
반응형
1.2.3 의문대사(疑问代词)

의문대사는 문장 가운데에서 화자가 모르는 내용을 지칭하는 대사이다. 다음 우리말을 보자.

  • 그는 누구입니까?
  • 이것은 무엇입니까?
  • 그 사람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 그는 왜 울고 있습니까?
  • 김치는 어떻게 담그나요?

위에서 묻고자 하는 내용은 ‘누구, 무엇, 어디, 왜, 어떻게’라는 말로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묻고자 하는 내용을 지칭하는 말을 중국어에서는 의문대사라고 한다. 중국어의 의문대사에는 ‘谁, 什么, 为什么, 干什么, 干嘛, 哪, 哪儿(哪裏), 怎么, 怎么样, 怎样’ 등이 있다. 이제 각각의 의문대사를 살펴보기로 하자.

1.2.3.1 ‘谁’

‘谁’는 사람을 나타내는 의문대사로서 ‘shéi, shuí’의 두 가지로 발음된다. 대화에서는 대개 ‘shéi’로 발음하며, 문장을 읽는 경우나 방송에서는 대개 ‘shuí’로 발음한다.

‘谁’는 주어가 될 수 있다.

  • 谁是王小平?
    누가 왕샤오핑이지요?
  • 谁找我? 
    어느 분이 저를 찾으십니까?

‘谁’는 앞에 제시된 사람 가운데의 어떤 사람을 나타낼 수 있다.

  • (1) 中国历史, 他们两个人谁懂得更多? 
       중국 역사를 그들 두 사람 중에 누가 더 많이 알고 있지?
  • (2) 英语, 小王和小李谁说得更流利? 
       영어를 샤오왕과 샤오리 중에 누가 더 유창하게 말합니까?

(1)의 ‘谁’는 ‘그들 두 사람’ 중의 한 사람이며, (2)의 ‘谁’는 ‘小王과 小李’ 중의 한 사람이다.

‘谁’는 빈어가 될 수 있다.

  • (1) 他是谁?
       그는 누구입니까?
  • (2) 你找谁?
       누구를 찾으십니까?

(1)의 ‘谁’는 ‘是’의 빈어이며, (2)의 ‘谁’는 ‘找’의 빈어이다.

‘谁’는 전치사 빈어가 될 수 있다.

  • 你向谁报告? 
    당신은 누구에게 보고합니까?
  • 他跟谁一起去?
    그는 누구와 함께 갑니까?

위의 ‘谁’는 전치사 ‘向, 跟’의 빈어이다.

‘谁’는 관형어가 될 수 있다.

  • 这是谁的书?
    이것은 누구의 책입니까?
  • 那是谁的东西? 
    그것은 어느 분의 물건이지요?

‘谁’는 의문대사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문을 나타내지 않는다.

‘谁’는 ‘모든 사람’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谁’는 일반적으로 ‘也, 都’를 동반한다.

  • 谁都懂。
    누구나 다 안다.
  • 谁都不懂。
    아무도 모른다.
  • 谁也不懂。
    아무도 모른다.

위와 같은 경우에 부정문이면 ‘也’와 ‘都’가 모두 사용되지만, 긍정문이면 일반적으로 ‘都’를 사용하며, ‘也’를 사용하지 않는다.

‘谁’가 반복해서 사용되면 동일한 대상을 가리킨다.

  • 谁愿意去谁就去。
    가고 싶은 사람이 가거라.
  • 谁要喝谁就喝。
    마시고 싶은 사람이 마셔라.

 

위에서는 ‘가기를 원하는 사람’이 곧 ‘가는 사람’이며, ‘마시기를 원하는 사람’이 곧 ‘마시는 사람’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뒤에 나오는 ‘谁’가 생략될 수 있다.

‘谁’는 기억나지 않는 어떤 사람이나 잘 알지 못하는 어떤 사람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경우에도 ‘谁’는 의문을 나타내지 않는다.

  • 那本书好像谁借走了。
    그 책은 누군가가 빌려 간 것 같습니다.
1.2.3.2 ‘什么’

‘什么’는 우리말의 ‘무엇, 무슨’을 뜻하는 의문대사이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에는 의문을 나타내지 않는다.

‘什么’는 빈어가 될 수 있다.

  • 这是什么?
    이것은 무엇입니까?
  • 你想吃什么?
    무엇을 먹고 싶으세요?

‘什么’는 관형어가 될 수 있다.

  • 这是什么书?
    이것은 무슨 책입니까?
  • 你吃什么药?
    무슨 약을 먹습니까?

‘什么’가 사람을 나타내는 말을 수식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을 비난하는 말이 될 수 있다.

  • 你算什么学生!
    네가 무슨 학생이야!
  • 他算什么英雄!
    그 사람이 무슨 영웅이야!

‘什么’는 부정양사 ‘(一)点儿, 些’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你要买点儿什么?
    뭘 좀 사시려고요?
  • 我应该注意些什么?
    제가 무엇을 좀 주의해야 하나요?

다음 우리말을 보자.

  • 무슨 물건이든 다 있습니다.
  • 무엇이든 다 좋아요.
  • 뭘요, 괜찮습니다.
  • 바쁘기는 뭐가 바빠요.
  • 뭐, 필요한 것이 있으면 말씀하세요.

위에 사용된 우리말 ‘무슨, 무엇, 뭘, 뭐’는 의문을 나타내지 않는다. ‘什么’도 이와 같이 비의문적 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他好像在想什么问题呢。
    그는 지금 뭔가를 생각하고 있는 것 같군요.
  • 我不知道他做什么事。
    나는 그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 你需要什么就跟我说吧!
    뭐, 필요한 것이 있으면 저에게 말씀하십시오!
  • 你看见什么就告诉我吧!
    뭐, 보이는 것이 있으면 저에게 알려 주십시오!

‘什么’는 광범위한 사물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장이 긍정형이면 ‘什么’는 ‘都’와 함께 사용되며, 부정형이면 ‘都’ 혹은 ‘也’와 함께 사용된다.

  • 什么都行。
    무엇이든지 다 좋다.
  • 什么书都可以。
    무슨 책이든 다 괜찮다.
  • 我什么书都不想看。
    나는 어떤 책도 보고 싶지 않다.
  • 他什么比赛也不参加。
    그는 아무 경기에도 참가하지 않는다.

‘没什么’는 대답하는 말로 사용되어 겸손을 나타낸다.

  • 谢谢你的帮助。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没什么。
      별말씀을 다 하십니다.
  • 太麻烦您了。
    너무 번거롭게 해 드려 죄송합니다.
  • —没什么。
      천만에요.
  • 对不起, 让您久等了。
    오래 기다리시게 해서 죄송합니다.
  • —没什么。
      뭘요.

‘什么’는 상대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 忙什么呀!
    바쁘기는 뭐가 바빠요!
  • 他知道什么!
    그 사람이 뭘 알겠어요!
  • 年轻什么, 我都四十岁了。
    뭐가 젊어요, 나는 이미 40세가 되었답니다.
  • 太麻烦你了。
    번거롭게 해 드려 죄송합니다.
  • —麻烦什么。
      뭐가 번거로워요.

다음 문장에서는 ‘吗’와 ‘有没有’가 이미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什么’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경우의 ‘什么’는 생략되어도 의미에 큰 변화가 없다. 이러한 ‘什么’는 빈어 앞에 와서 우리말의 ‘무슨, 뭐’와 같이 부드럽고 소탈한 어감을 나타낸다.

  • 你有什么事情吗?
    무슨 일이 있으세요?
  • 你有没有什么不明白的地方?
    뭐, 이해 안 되는 데가 있나요?

‘什么的’는 명사 뒤에 와서 ‘등등’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용법은 대부분 대화에 사용된다. 이 경우의 ‘什么’는 경성(轻声)으로 발음한다.

  • 我要买点鱼啊, 肉啊什么的。 
    나는 생선이나 고기 등등을 사려고 한다.
  • 排球啊, 足球什么的, 我都不会。
    배구나 축구 등등을, 나는 하나도 할 줄 모른다.

‘什么’가 앞에 나오고 그 뒤에 사물이 열거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什么’는 약하게 발음한다.

  • 什么纸啊, 笔啊, 墨水啊, 样样都有。
    무슨 종이니 펜이니 잉크 같은 것들이 모두 있다.

‘什么’가 연이어 나오면, 앞의 조건에 따라 다음 사항이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앞뒤의 ‘什么’는 동일한 사물을 가리키며, 그 사이에는 ‘就’가 들어간다.

  • 有什么, 就吃什么。
    있는 걸 먹지요.
  • 你喜欢吃什么就吃什么。
    네가 먹고 싶은 것을 먹어라.
1.2.3.3 ‘为什么’, ‘干什么’, ‘干嘛’

‘为什么’는 문장의 앞에 와서 원인을 묻는다.

  • 为什么天是蓝色的?
    왜 하늘은 푸른색인가요?
  • 为什么你不去?
    왜 당신은 안 가십니까?

‘为什么’는 주어 뒤에 올 수도 있다.

  • 天为什么是蓝色的?
    하늘은 왜 푸른색인가요?
  • 你为什么不去?
    당신은 왜 안 가십니까?

 

‘干什么’도 원인을 묻는다. 그러나 ‘干什么’가 들어간 의문형은 사실상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 你干什么买这种东西呢?
    네가 뭐 하려고 이런 것을 사지?
    (=살 필요가 없을 것 같은데.)
  • 你干什么借钱给他?
    네가 왜 그에게 돈을 빌려 주지?
    (=그럴 필요 없는데.)

‘干什么’는 문장 뒤에 올 수도 있다.

  • 这么暖和, 你穿大衣干什么?
    이렇게 따뜻한데, 코트 입어서 뭐 하려고?
    (=입을 필요가 없을 것 같은데.)
  • 你找他干什么? 
    당신이 그를 찾아서 뭐 하려고요? 
    (=찾을 필요가 없는 것 같은데.)

‘干嘛’는 ‘gànmá’로 발음한다. ‘干嘛’도 원인을 묻는다는 점에서는 ‘为什么, 干什么’와 같지만, 주로 대화에 사용되며 화자가 탐탁지 않게 여기는 내용을 나타낸다는 점이 그들과 다르다.

  • 你干嘛不吃?
    너는 왜 안 먹는 거야?
  • 你干嘛不睡? 
    너는 왜 안 자는 거야?

위는 ‘상대가 먹지 않거나, 자지 않는 것’을 화자가 좋아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干嘛’는 문장 뒤에 올 수도 있다.

  • 你找他干嘛? 
    당신이 왜 그를 찾나요?
  • 他叫我干嘛? 
    그 사람이 왜 나를 찾지요?

사물의 객관적 원리를 묻는 경우에는 ‘为什么’를 사용해야 한다. ‘干什么’나 ‘干嘛’는 객관적 원리를 묻는 데에 사용될 수 없다.

  • (1) 今年的西瓜为什么不甜?
       올해의 수박은 왜 달지 않을까?
  • (2) 春天风沙特别大, 你知道为什么吗? 
       봄에는 황사가 아주 많은데 왜 그런지 아십니까?
  • (3)*今年的西瓜干嘛不甜? 
  • (4)*春天风沙特别大, 你知道干什么吗?

(1-2)는 객관적 원리인 자연현상을 묻는다. 그러므로 ‘为什么’로 물어야 한다. (3-4)는 이러한 객관적 원리를 ‘干嘛, 干什么’로 물었기 때문에 비문이다.

1.2.3.4 ‘哪’, ‘哪儿(哪裏)’

‘哪’는 ‘어느 (것)’을 뜻하는 의문대사로서, 수량사의 수식을 받은 명사와 결합한다. 그러나 수사가 ‘一’이면 그 수사는 대개 생략된다.

  • 哪(一)个人(어느 사람)
  • 哪(一)本书(어느 책)
  • 哪(一)家医院(어느 병원)
  • 哪(一)个东西(어느 것)

위와 같은 명사구는 주어, 빈어, 관형어가 될 수 있다.

  • 哪本书最好?(哪本书: 주어)
    어느 책이 제일 좋습니까?
  • 你喜欢哪种颜色?(哪种颜色: 빈어)
    어떤 색을 좋아하십니까?
  • 这是哪位老师的东西?(哪位老师: 관형어) 
    이것은 어느 선생님 것입니까?

이러한 명사구에서 명사는 생략될 수도 있다.

  • 你要哪本(书)? 
    어떤 책을 원하십니까?
  • 你找哪位(先生)?
    당신은 어느 분을 찾으십니까?
  • 你喜欢哪件(衣服)?
    당신은 어떤 옷을 좋아하세요?

‘哪儿(裏)’은 ‘어디, 어느 (곳)’이라는 처소를 묻는 의문대사로서 주어, 빈어, 관형어가 될 수 있다.

  • 哪儿不舒服?(哪儿: 주어)
    어디가 불편하십니까?
  • 你住哪儿?(哪儿: 빈어)
    어디 사십니까?
  • 你在哪儿学习汉语?(哪儿: 전치사 빈어) 
    어디에서 중국어를 배우십니까?
  • 他是哪儿的人?(哪儿: 관형어) 
    그는 어느 지방 사람입니까?

전화상의 대화에서 ‘哪儿’은 단독으로 술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을 보자.

  • A : 喂, 你是北京大学吗? 
        여보세요? 베이징 대학이죠?
  • B : 是的。你哪儿啊? 
        네. 어디십니까?
  • A : 我是北京饭店。
        여기는 베이징 호텔인데요.

‘哪儿’은 광범위한 처소를 모두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부사 ‘都’나 ‘也’와 함께 쓰인다.

  • 北京我哪儿都去过。
    베이징이라면 나는 어디든지 다 가 보았다.
  • 宿舍楼哪儿都很干净。
    기숙사는 어디든지 모두 깨끗하다.

사람을 묻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谁’를 사용하지만,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 경우에는 ‘哪位’를 사용한다.

  • 谁是金华?
    누가 진화입니까?
  • 哪位是金华? 
    어느 분이 진화신가요?
  • 你是谁?(전화상의 대화)
    너는 누구지?
  • 您是哪位?(전화상의 대화)
    당신은 어떤 분이시지요?
  • 你找谁?
    누구를 찾니?
  • 您找哪位?
    어느 분을 찾으십니까?

‘哪儿’은 반어문에 사용되어 부정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 ‘哪儿’은 ‘어떻게, 어찌’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 他哪儿有钱啊? 
    그 사람이 어떻게 돈이 있겠어요?
    (=그는 돈이 없다.)
  • 他哪儿能不知道啊? 
    그 사람이 어떻게 모를 수가 있겠어요?
    (=그는 알고 있다.)

위와 같이 사용되는 ‘哪儿’에서는 ‘儿’이 생략될 수도 있다.

  • 他哪有钱啊? 
    그 사람이 어떻게 돈이 있겠어요?
  • 他哪能不知道啊? 
    그 사람이 어떻게 모를 수가 있겠어요?

‘哪’는 광범위한 사물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장이 긍정문이면 ‘都’, 부정문이면 ‘都’ 혹은 ‘也’와 함께 사용된다.

  • 哪本书都要买。
    어떤 책이든 사려고 한다.
  • 哪本书都不想看。
    어떤 책이든 보고 싶지 않다.
  • 哪个东西也不想吃。
    어떤 것이든 먹고 싶지 않다.

‘哪’가 앞뒤에 반복되어 나오면, 앞의 조건대로 뒤의 사항이 결정됨을 뜻한다. 이는 ‘什么’의 경우와 같다.

  • 你爱上哪儿就上哪儿吧。
    네가 가고 싶은 대로 가거라.
  • 你喜欢哪个就买哪个。
    네가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사거라.
1.2.3.5 ‘怎么’, ‘怎么样’, ‘怎样’

‘怎么’는 술어 앞에 와서 ‘어떻게’와 같이 방식을 묻는다.

  • 这个字怎么写?
    이 글자는 어떻게 씁니까?
  • 咱们怎么办?
    우리는 어떻게 할까?
  • 我怎么说?
    내가 어떻게 말할까?
  • 北京站怎么走?
    베이징 역은 어떻게 갑니까?

위의 ‘怎么’는 술어인 ‘写, 办, 说, 走’ 앞에 와서 그 동작의 방식을 묻고 있다.

방식을 묻는 ‘怎么’는 주어 앞에 올 수 없다. 다음을 보자.

  • 这个字怎么写?
  • *怎么这个字写?
  • 咱们怎么办?(방식)
  • *怎么咱们办?(방식)

‘怎么’는 원인을 묻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 你怎么不说话?(원인)
    당신은 왜 말을 하지 않습니까?

원인을 묻는 ‘怎么’는 주어의 앞뒤에 모두 올 수 있다.

  • 你怎么不说话?(원인)
    너는 왜 말을 하지 않지?
  • 怎么你不说话?(원인)
    왜 너는 말을 하지 않지?

위와 같이 ‘怎么’가 ‘不’ 앞에 오면 원인을 묻는다. ‘怎么’가 ‘不’ 뒤에 와도 역시 원인을 묻는다.

  • 你怎么不去?
    너는 왜 안 가지?
  • 你怎么不喜欢他?
    당신은 왜 그 사람을 싫어하지요?

‘怎么’가 ‘不’ 뒤에 와서 ‘不怎么……’ 형식이 되면, ‘怎么’는 부드러운 부정을 나타낸다. 실제적으로 ‘不怎么’는 의문의 기능 없이 ‘그렇게 ……하지는 않다, 그다지 ……하지는 않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 今天不怎么热。
    오늘은 그렇게 덥지는 않다.
  • 这个苹果不怎么甜。
    이 사과는 그다지 달지 않다.

‘怎么’가 단독으로 사용되면 의외의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怎么’ 다음에 오는 문장은 일반적으로 의문형이다.

  • 怎么, 你今天就走?
    왜요? 오늘 가시려고요?
  • 怎么, 他又病了?
    어떻게 된 거야? 그가 또 아프니?

‘怎么了’가 단독으로 술어가 되면 사람이나 사물이 비정상적 상황으로 변했음을 나타낸다.

  • 你怎么了? 不舒服吗?
    너 왜 그래? 몸이 안 좋니?
  • 他怎么了? 今天又没来。
    그 사람 어떻게 된 거야? 오늘 또 안 왔네.

‘怎么会……’는 ‘……일 리가 있는가?’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반어문이다. 이 형식에는 ‘会’ 대신 ‘行, 可以, 能’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 你怎么会不知道呢?
    네가 어떻게 모를 수 있니?
    (=너는 알고 있다.)
  • 你不去怎么行呢?
    네가 안 가면 어떡하니?
    (=너는 가야 한다.)
  • 你怎么可以这么说呢?
    네가 어떻게 이렇게 말할 수 있지?
    (=너는 이렇게 말하면 안 된다.)
  • 我怎么能不认识他呢?
    제가 어떻게 그분을 모를 수 있겠습니까?
    (=저는 그분을 압니다.)

‘怎么+个+동사+法’ 형식은 동작의 방식을 묻는다.

  • 这种药怎么个吃法?
    이런 약은 어떻게 먹지요?
  • 去天安门怎么个走法?
    천안문은 어떻게 가지요?

‘怎么也……’, ‘怎么都……’는 부정문에 사용되어 ‘아무리 노력해도 목적을 이룰 수 없다’는 강한 부정을 나타낸다.

  • 他的话我怎么也听不懂。
    그의 말은 아무리 노력해도 알아들을 수가 없다.
  • 那本书我怎么都找不着。
    그 책은 아무리 노력해도 찾을 수가 없다.

‘怎么’ 뒤에 나오는 동사와 동일한 동사가 반복하여 나올 수 있다. 그 사이에는 대개 ‘也’나 ‘都’가 사용된다.

  • 我不会跳舞, 怎么学也学不会。
    나는 춤을 못 추는데, 아무리 배워도 배울 수가 없다.
  • 吃的东西这么多, 怎么吃都吃不完。
    먹을 것이 이렇게 많으니, 아무리 먹어도 다 먹을 수가 없다.

‘怎么A就怎么A’ 형식은, 그 동작을 하고 싶으면 그대로 하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어형에는 일반적으로 소망 표시의 조동사가 사용된다.

  • 你想怎么写就怎么写。
    네가 쓰고 싶은 대로 써라.
  • 你愿意怎么做就怎么做。
    당신이 하고 싶은 대로 하세요.

‘怎么样’은 술어가 되어 상황이나 성질 등을 묻는다.

  • 你身体怎么样?
    건강은 어떠세요?
  • 他怎么样? 
    그 사람은 어떻게 지냅니까?
  • 北京的天气怎么样?
    베이징의 날씨는 어떻습니까?
  • 最近学习怎么样?
    요즘 공부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怎么样’은 정도보어(程度补语)가 되어 상황 등을 나타낸다.

  • 考得怎么样?
    시험을 어떻게 보았습니까?
  • 昨天晚上玩得怎么样?
    어제저녁에는 잘 놀았습니까?

‘怎么样’은 문장 끝에 와서 상대의 의견을 묻는 경우가 있다.

  • 星期天去, 怎么样?
    일요일에 가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 你来我这儿, 怎么样? 
    당신이 나한테 오는 것이 어떨까요?

‘不怎么样’은 하나의 단어처럼 사용되어 ‘별로 좋지 않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 身体不怎么样。
    건강이 별로 좋지 않다.
  • 天气不怎么样。
    날씨가 별로 좋지 않다.

‘怎么样’은 문장에서는 ‘怎样’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들의 기능은 동일하다.


【출처 :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허성도교수 강의】

반응형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수(基数)  (0) 2015.11.05
특수대사(特殊代词)  (0) 2015.11.05
지시대사(指示代词)  (0) 2015.11.05
인칭대사(人称代词)  (0) 2015.11.05
시간사(时间词)  (0) 2015.11.05

🔰˚전세계의 할인 특가 숙소를 검색 해 보세요.. 호텔, 홈, 아파트 등 각양각색의 숙소가 무려 2,563,000개 이상!

 예약은 지금, 결제는 나중에! 최저가 맞춤 전 세계 2,563,380개 숙박 업체

개성 넘치는 전세계 모든숙소를 찾아 보세요~

◑˚아파트 ◑˚호스텔 ◑˚리조트 ◑˚료칸 ◑˚홀리데이파크 ◑˚캠프장 ◑˚보트호텔 ◑˚아파트호텔 ◑˚펜션 ◑˚숙소2◑˚럭셔리 텐트 ◑˚홈스테이 ◑˚러브 호텔 ◑˚샬레 ◑˚이코노미 호텔 ◑˚휴가지 숙소 ◑˚타이니 하우스 ◑˚고급 호텔 ◑˚저예산 호텔 ◑˚골프 리조트 ◑˚디자인 호텔 ◑˚가족 호텔 ◑˚배리어프리 호텔 ◑˚수영장을 갖춘 호텔 ◑˚주차 시설을 갖춘 호텔 ◑˚베드앤브렉퍼스트 ◑˚모텔 ◑˚비치 호텔 ◑˚팜스테이 ◑˚빌라 ◑˚자쿠지를 갖춘 호텔 ◑˚게스트하우스 ◑˚여관 ◑˚숙소1◑˚캡슐호텔 ◑˚컨트리 하우스 ◑˚롯지 ◑˚리야드 ◑˚코티지 ◑˚5성급 호텔 ◑˚글램핑 ◑˚코티지 ◑˚4성급 호텔 ◑˚스파 호텔 ◑˚로맨스 호텔 ◑˚3성급 호텔 ◑˚취사 가능한 숙소 ◑˚스키 리조트 ◑˚온천 있는 숙소 ◑˚반려 동물 동반 가능한 호텔 

 

Booking닷Com (퀵 링크) 바로가기 링크

◑국가 ◑도시 ◑공항 ◑관광 명소 ◑지역 ◑지역 ◑모든 항공편 목적지 ◑장기 숙박할 수 있는 숙소 ◑Traveller Review Awards ◑Genius 로열티 프로그램 ◑이용 후기 ◑시즌 & 홀리데이 특가 ◑세계 각 도시의 투어/액티비티 ◑24시간 (고객 센터) 

Booking.com

유럽

그루지아 * 그리스 * 그린란드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맨섬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로루시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브하지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지브롤터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크림 반도 * 키프로스 * 터키 * 페로 제도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세인트 피에르 미켈론 * 캐나다

중앙 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파나마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 프랑스령 기아나

아시아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국 사모아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우즈베키스탄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오세아니아

 * 나우루 * 노퍽 섬 * 뉴 칼레도니아 * 뉴질랜드 * 니우에 * 마샬 군도 * 미크로네시아 * 바누아투 * 북마리아나 군도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오스트레일리아 * 코코스 군도 * 쿡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피지

카리브 해

과달루프 * 그레나다 * 도미니카 * 도미니카 공화국 * 마르티니크 * 몬트세라트 *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보네르, 세인트 유스타티유스 및 사바 * 생 바르텔레미 * 세인트 루시아 * 세인트 마틴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 헬레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신트마르텐 * 아루바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 자메이카 * 케이맨 제도 * 쿠라카우 * 쿠바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푸에르토리코

중동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 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리비아 * 리유니언 섬 * 마다가스카르 * 마요트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닌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스와질란드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리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