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박태란 어떤 동작이나 상황이 곧 발생하려는 상태를 말한다. 임박태는 ‘要……了’의 형식으로 표현된다. ‘要’는 ‘장래’를 나타내며, ‘了’는 변화태 ‘了’이다.
- 要下雨了。
곧 비가 오려고 합니다.
(=곧 비가 오려는 사태로 이제 변했다.) - 汽车要开了。
차가 막 떠나려고 합니다.
(=곧 차가 떠나려는 사태로 이제 변했다.)
‘要’ 앞에 ‘快, 就’를 첨가하여 ‘快要……了’, ‘就要……了’ 형식이 될 수 있다. ‘快要……了’, ‘就要……了’ 형식은 ‘要……了’보다 더 빠른 시간 내에 어떤 상황이 발생할 것임을 나타낸다.
- 快要上课了。
곧 수업이 시작되려고 합니다. - 就要上课了。
수업이 지금 막 시작되려고 합니다.
‘快要……了’는 심리적으로 임박한 시간을 나타내고, ‘就要……了’는 객관적으로 임박한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快要……了’는 심리적으로 임박한 것이라고 판단되기만 한다면, 다음 달에 발생하는 사실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 달에는 곧 비가 오기 시작하니까 지금부터 준비를 서둘러야만 합니다’와 같은 말에는, 비록 다음 달에 비가 오지만 화자는 그것을 임박한 사실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그러나 ‘就要……了’는 객관적으로 임박한 사실의 발생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就要……了’는 곧 발생하는 사실이거나 내일 혹은 다음 주에 발생하는 사실 등을 나타낼 수 있다. ‘快要……了’는 심리적 임박성을 나타내므로 그 앞에 시간사가 나올 수 없다. 시간사는 객관적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就要……了’는 객관적 임박성을 나타내므로 그 앞에 시간사가 나올 수 있다. 다음을 보자.
- *火车五点钟快要开了。
기차가 5시에 곧 떠납니다.
*我们明天快要回国了。
우리는 내일 곧 귀국합니다.
위는 ‘快要……了’가 나온 문장에 ‘五点钟, 明天’과 같은 시간사가 사용되었으므로 비문이다. 이러한 문장은 다음과 같이 ‘就要……了’를 사용해야 한다.
- 火车五点钟就要开了。
기차가 5시에 곧 떠납니다. - 我们明天就要回国了。
우리는 내일 곧 귀국합니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是’자문[是字句] (0) | 2015.11.02 |
---|---|
현장과거진행태(现场过去进行态) (0) | 2015.11.02 |
지속태(持续态) (0) | 2015.11.02 |
진행태(进行态) (0) | 2015.11.02 |
경험태(经验态) (0) | 2015.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