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를 마시는 것에 대해서 말하면 그것은 중국인들 속에서 술을 마시는 것보다 훨씬 더 보편적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찻잎을 생산한 국가이며, 그 후에 일본 동남아 및 세계 기타 지역으로 전파되었기 때문에 중국은 "찻잎의 고향(茶葉的故鄕)"이라 불린다. 서기 780년 당대(唐代)의 육우(陸羽)가 쓴 ≪다경(茶經)≫은 세계 최초의 차에 관한 전문 저서이다.
차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능이 있다. 즉,
① 음료로서 갈증 해소하고,
② 위장의 소화를 도우며,
③ 손님 접대 시에 사용되고,
④ 선물로 보낸다.
중국인들이 차를 마시는 것은 일반적으로 식사 후나 한담할 때이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따뜻한 차를 마시고 차가운 차를 마시지 않으며, 차를 마시면서 한담을 나누고 한잔 한잔 계속해서 마신다.
중국은 지역이 광활하고 인구가 많으며 지역간 격차가 심하여 차의 종류는 100여종이나 되고 각 지방의 사람들이 차를 마시는 종류와 습관도 같지 않다. 차의 종류를 보면 대체로 화차(花茶), 뤼차(綠茶), 홍차(紅茶), 우롱차(烏龍茶), 진야차(緊壓茶)의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주요 생산지로는 절강(浙江), 강소(江蘇), 안휘(安徽), 하남(河南), 복건(福建),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지가 있다.
흔히 말하는 "10대명차(十大名茶)"는 롱징차(龍井茶; 杭州), 삐루어춘(碧螺春; 太湖 洞庭山), 티에꽌인(鐵觀音; 閩南), 황산마오펑(黃山毛峰; 安徽 黃山) 우이얜차(武夷巖茶; 福建 武夷山), 치먼홍차(祁門紅茶; 安徽 祁門), 신양마오지앤(信陽毛尖; 河南), 떠우윈마오지앤(都勻毛尖; 貴州), 리우안꽈피앤(六安瓜片; 安徽 六安) 등이다.
차를 마시는 습관으로부터 보면, 북방 사람들은 화차(花茶), 특히 무오리화차(茉莉花茶: 쟈스민차)를 좋아한다. 절강(浙江), 상해(上海) 사람들은 뤼차, 특히 롱징, 삐루어춘, 마오펑을 좋아한다. 광주 사람들은 홍차, 특히 치먼홍차를 좋아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차를 찧어 부수고 소금을 약간 가미하여 시앤차(咸茶)를 마신다. 내몽고(內蒙古)와 서북지방에는 목축민이 많은데 그들은 육식을 많이 하고 우유를 많이 마시며 사발에 좐차(磚茶)를 즐겨 마신다.
사천(四川),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의 고산 지역은 채소가 적기 때문에 채소 대신에 항상 차를 마시는데, 거의 모든 집마다 다기가 있고 매일 적어도 세 번씩은 차를 마신다. 그들에게는 "아침 차 한 잔에 온종일 힘이 넘치고, 점심 차 한 잔에 일이 가뿐하며, 저녁 차 한 잔에 기운이 나서 고통이 사라진다(早茶一 , 一天威風, 午茶一 , 勞動輕松, 晩茶一 , 提神去痛)"라는 속담이 있다. 중경(重慶), 성도(成都), 귀주(貴州) 등과 같은 서남 지역에는 곳곳에 노점 찻집이 있는데, 사람들은 대나무 의자에 앉아서 차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면서 유유자적하게 시간을 보낸다.
복건의 티에꽌인 등의 우롱차는 향기가 짙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에도 좋아 외국인들에게 대단히 환영을 받으면서 국제시장의 인기상품이 되었다. 중국인들은 외국인과 사귀면서 항상 우롱차와 기타 명차를 중국 특산물로 친구에게 선사한다.
중국인들은 차 마시기를 좋아할 뿐만 아니라 다기도 좋아한다. 많은 가정에서는 아름다운 다기를 집안의 눈에 잘 띄는 곳에 실내 장식용으로 두고 있다. 친구가 결혼할 때에는 항상 아름다운 다기 세트를 사서 신혼부부에게 선사한다. 그리고 간혹 그것을 외국 친구에게 선물할 때도 있다. 중국의 다기는 일반적으로 한 개의 찻주전자(茶壺), 네 개의 찻잔(茶碗)과 한 개의 다반(茶盤)을 "한 세트"라 한다. 강서성(江西省) 경덕진(景德鎭)의 도자기, 하북성(河北省) 한단(邯鄲) 자주요(磁州窯)의 도기, 그리고 강소성(江蘇省) 의흥(宜興)의 니호(泥壺)는 다기로서 가장 유명하여 국내외에서 매우 환영을 받고 있다.
외국에서는 커피 마시는 것이 유행하지만 중국에서는 아직 보편적이지 않다. 그러나 최근 십 몇 년 사이에 중국에 들어온 외국인 수가 신속하게 증가하고 출국한 중국인 수도 많아졌다. 그들은 외국의 음식 습관을 중국으로 가지고 들어와 중국에서도 커피를 마시고 양식을 하는 사람이 서서히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세계 각 국가와 각 민족의 음식 습관은 제각기 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음식 문화는 세계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당연히 비교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차(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차 제대로 마시기] 보이차 (0) | 2015.08.17 |
---|---|
마시면 살빼주는 3대차 (0) | 2015.08.17 |
중국, 좋은차 고르는법 (0) | 2015.08.17 |
중국차(茶)의 분류 (0) | 2015.08.17 |
중국 전통 차 문화 (0) | 201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