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조조사는 화자의 어조나 감정을 나타낸다. 어조조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그 사람이 간다.
위의 우리말을 강조점 없이 평이하게 읽어 보자. 그렇다면 이는 ‘그 사람이 간다’라는 사실을 알려 주는 말로서, 어떠한 감정도 들어가 있지 않다. 그러나 다음을 보자.
- (1) 그 사람이 간단 말이야.
- (2) 그 사람이 갈 것입니다.
- (3) 그 사람이 가나요?
- (4) 그 사람이 가게 하시오!
위의 (1)에서는 화자의 강한 단정이 느껴지며, (2)에서는 화자가 추정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3)에는 의문을 나타내는 어조가 있으며, (4)에는 명령을 나타내는 어조가 있다. 이와 같이 단정, 추정, 의문, 명령 등의 어조를 나타내는 말을 중국어에서는 어조조사(语调助词)라고 한다.
어조조사(语调助词)에는 ‘呢, 吗, 吧, 啊, 啦, 嘛, 呗, 罢, 罢了, 而已, 着呢’ 등이 있다. 이들은 문장의 끝에 와서 화자의 단정, 추정, 의문, 명령 등의 어조를 나타내거나, 주어 혹은 빈어의 뒤에 와서 그들을 강조하거나 열거하는 기능을 한다.
‘吧’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용법이 있다.
1. ‘吧’는 명령문에 첨가되어 명령의 어조를 부드럽게 해 준다. 이 경우의 ‘吧’는 요청, 재촉 등의 어조를 나타낸다.
- 咱们走吧。
우리, 출발합시다. - 你告诉我吧!
나에게 말해 주려무나!
2. ‘吧’는 명령문에 첨가되어 부드러운 건의의 어조를 나타낸다.
- 你去看一下吧。
당신이 한번 가 보십시오. - 你来介绍一下吧。
당신이 소개 좀 해 주시지요.
3. ‘吧’는 추측, 추정의 어조를 나타낸다.
- 你没吃早饭吧?
아침 안 드셨지요? - 你不认识他吧?
당신은 그 사람을 모르시지요?
4. ‘吧’는 동의를 나타낸다.
- 好吧, 我答应你了。
좋아요. 그렇게 합시다.
5. ‘吧’가 연이어 나오면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을 나타낸다.
- 打球吧, 不会打, 不打吧, 他们还不高兴。
공을 치자니 칠 줄 모르고, 안 치자니 그들이 또한 기분 나빠 한다. - 说吧, 不好意思, 不说吧, 也不好意思。
말을 하기도 그렇고, 안 하기도 그렇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조조사(语调助词) ‘啦’ (0) | 2015.11.10 |
---|---|
어조조사(语调助词) ‘啊’, ‘呀’, ‘哇’, ‘哪’ (0) | 2015.11.10 |
어조조사(语调助词) ‘吗’ (0) | 2015.11.10 |
어조조사(语调助词) ‘呢’ (0) | 2015.11.10 |
구조조사(構造助词)‘所’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