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는, 우리말 ‘철수는’의 ‘~는’, ‘학교에’의 ‘~에’와 같이 구체적 의미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단어나 구의 뒤에 첨가되어 문법적 관계, 어조(语调), 동작 행위의 상태, 비교 등을 나타낸다.조사에는구조조사(構造助词)ㆍ어조조사(语调助词)ㆍ비교조사(比较助词)ㆍ동태조사(动态助词) 등이 있다.
앞뒤의 문법적 구조를 제시해 주는 조사를 구조조사라고 한다. ‘的, 地, 得, 所’ 등이 이에 속한다.
‘所’는 ‘주어+所+타동사’ 형식으로 관형어가 된다.
- 他所唱的歌儿都是流行歌。(他所唱: 관형어)
그가 부르는 노래는 모두 유행가이다. - 我们所看到的不过是些表面现象。(我们所看到: 관형어)
우리가 본 것은 약간의 표면적 현상에 불과하다.
‘所’는 ‘有’나 ‘无’의 빈어가 되는 경우가 많다.
- 有所发展
어느 정도 발전하다.
(=조금 발전한 바가 있다.) - 有所变化
어느 정도 변화하다.
(=어느 정도 변화한 바가 있다.)
위의 ‘有所……’ 형식은 변화했다는 사실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그 변화의 정도는 절대로 크지 않다.
- 他对中国的历史有所研究。
그는 중국 역사에 대해 조금 알고 있다.
(=조금 연구한 바가 있다.) - 现在我们之间有所了解了。
이제 우리는 서로를 조금 이해하게 되었다.
(=조금 이해하는 바가 있다.)
‘所’가 단음절 동사의 부정형과 결합하는 것은 ‘无’의 빈어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 无所不为
못하는 짓이 없다. - 无所不问
묻지 않는 것이 없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조조사(语调助词) ‘吗’ (0) | 2015.11.10 |
---|---|
어조조사(语调助词) ‘呢’ (0) | 2015.11.10 |
구조조사(構造助词) ‘得’ (0) | 2015.11.10 |
구조조사(構造助词) ‘地’ (0) | 2015.11.10 |
구조조사(構造助词) ‘的’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