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조조사는 화자의 어조나 감정을 나타낸다. 어조조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그 사람이 간다.
위의 우리말을 강조점 없이 평이하게 읽어 보자. 그렇다면 이는 ‘그 사람이 간다’라는 사실을 알려 주는 말로서, 어떠한 감정도 들어가 있지 않다. 그러나 다음을 보자.
- (1) 그 사람이 간단 말이야.
- (2) 그 사람이 갈 것입니다.
- (3) 그 사람이 가나요?
- (4) 그 사람이 가게 하시오!
위의 (1)에서는 화자의 강한 단정이 느껴지며, (2)에서는 화자가 추정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3)에는 의문을 나타내는 어조가 있으며, (4)에는 명령을 나타내는 어조가 있다. 이와 같이 단정, 추정, 의문, 명령 등의 어조를 나타내는 말을 중국어에서는 어조조사(语调助词)라고 한다.
어조조사(语调助词)에는 ‘呢, 吗, 吧, 啊, 啦, 嘛, 呗, 罢, 罢了, 而已, 着呢’ 등이 있다. 이들은 문장의 끝에 와서 화자의 단정, 추정, 의문, 명령 등의 어조를 나타내거나, 주어 혹은 빈어의 뒤에 와서 그들을 강조하거나 열거하는 기능을 한다.
‘啊’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용법이 있다.
1. ‘啊’는 긍정이나 찬성의 어조를 나타낸다.
- 休息很重要啊!
휴식은 중요한 거예요! - 对啊, 我是韩国人。
맞아요, 저는 한국 사람입니다.
2. 감탄문의 끝에는 대개 ‘啊’가 온다. 감탄문은 자기 감정의 최대한의 긍정인데, ‘啊’에는 이러한 긍정의 어조가 있기 때문이다.
- 多可惜啊!
얼마나 아쉬워요!
(=나는 정말 아쉽다고 생각합니다.) - 今天他们多高兴啊!
오늘 저 사람들이 얼마나 기쁘겠어요!
(=나는 저 사람들이 정말 기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啊’는 문장의 앞에 단독으로 사용되어 경이, 찬탄을 나타낸다.
- 啊! 这个地方真美!
아! 이곳은 정말 아름답네요! - 啊! 你写得真好!
아! 당신은 정말 멋지게 썼습니다!
4. 반어문에 ‘啊’가 첨가되면 반문의 어조가 강조된다.
- 他哪能不知道啊?
그 사람이 어떻게 모를 수가 있단 말이야?
(=그 사람은 분명히 알고 있다.) - 哪有这样的事啊?
어떻게 이런 일이 있단 말인가?
(=이런 일은 없어야 한다.)
5. ‘啊’는, 자신의 앞 음절의 마지막 음이 ‘i, ü’이면 ‘呀’, ‘u’면 ‘哇’, ‘n’이면 ‘哪’로 쓰기도 한다.
- 对呀!
맞아요! - 我怎么去呀?
내가 어떻게 가겠니?
(=상황을 봐라,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갈 수 있겠니?) - 走哇!
갑시다! - 不相信哪!
믿을 수가 없어요!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조조사(语调助词) ‘嘛’ (0) | 2015.11.10 |
---|---|
어조조사(语调助词) ‘啦’ (0) | 2015.11.10 |
어조조사(语调助词) ‘吧’ (0) | 2015.11.10 |
어조조사(语调助词) ‘吗’ (0) | 2015.11.10 |
어조조사(语调助词) ‘呢’ (0) | 201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