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족은 신강 위구르 자치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인구수는 9백 만 명이 넘는다. 북쪽 신강지역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은 몽고족의 한 갈래이며 남쪽 신강 지역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은 토속민이라고 전한다. 두 민족은 16세기 초에 완전히 융합되면서 현재의 위구르족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후 위구르족은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창조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위구르족은 자신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언어의 계통은 알타이어계 돌궐어족에 속하며, 문자는 노니문(盧尼文)을 사용하고 있다. 위구르의 뜻은 그들의 언어로 ‘연합’, ‘동맹’을 뜻 한다. 현재의 문자는 합태문(合台文)의 기초에서 개진한 것으로 32개의 자모가 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로로 쓰고 있다. 1960년에 라틴 자모를 기초로 개혁한 문자가 생겨났지만 1982년 원래의 고문자를 다시 사용하기로 하였다.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는 신강은 고대 동서의 문화의 교차하는 장소였다. 현재도 돈황을 비롯한 풍부한 역사적 유적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 또 신강은 위구르족의 역사의 중요한 지점 및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위구르족은 예전에는 라마교, 모니교, 경교, 불교 등 여러 종교를 숭배하였지만 16세기 이후 현재까지는 이슬람교를 신봉하며 다른 종교는 배척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현대 위구르족의 유일한 신앙이며 신앙의 내용에는 조상 숭배 사상이 많이 들어 있다.
신강의 건조한 지역적 특색을 그대로 보여주는 위구르족의 가옥은 벽은 비교적 두껍고 창은 작고 좁은 편이다. 지붕은 높고 채광이 잘 되도록 지어졌다. 좌식생활을 위주로 하는 구조이며 온돌이 있고 여기서는 밥을 지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마당 한 쪽으로 부엌이 만들어져 있어 여름철에는 밖에서 밥을 하도록 되어있다.
대문이 서쪽 방향을 향하는 것을 피하고 있으며 주택의 방향은 보통 동남향을 하고 있다. 집의 앞과 뒤에는 과일 나무가 심어져 있거나 화초를 가꾸고 각종 채소를 직접 길러서 자급자족을 하고 있다. 집 안마당에는 포도나무를 심어 그늘을 만들어 아주 더운 신강에서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구르족의 주요 명절은 이슬람교의 종교행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주요 행사 때는 남녀노소 모두 정장을 입고 서로서로 방문을 하여 명절을 축하한다.
위구르족은 가무에 능한 민족으로 전통적인 민속악기의 종류가 많고 특히 가무의 특성에 군중성이 강하다. 목을 좌우로 움직이며 추는 춤은 다른 민족의 춤에서는 잘 볼 수 없는 것이다.
음식은 면으로 만든 음식을 즐기며 소고기와 양고기를 먹으며 특히 양꼬치를 즐겨먹는다. 특히 신강지역은 과일의 종류가 많고 과일의 맛이 매우 달며 신선하다. 포도, 수박, 향과(메론의 종류), 하미과(메론과 참외의 혼합형), 무화과 등 여러 과일 등을 신선한 형태로 그대로 먹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런 과일들을 말려서 건조 과일로 먹기도 한다.
포도 같은 경우 그 종류가 10여종을 넘으며 종류별로 수확시기도 달라 6월에서 10월에 이르는 시기에 포도를 종류별로 먹을 수 있다. 포도는 위구르족이 직접 만든 특수한 건조 창고에서 약 20여일을 자연 건조시키면 건포도가 된다.
위구르족이 많이 살고 있는 신강은 알타이산과 곤륜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천산과 알타이산의 중심지역에 위치하는 북신강 같은 곳은 분지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부분에는 사막도 있고 목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넓은 초원도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역의 특성과 토양의 특성으로 인해 빗물이나 높은 산에서 녹아내린 빙수가 미처 아래 지역으로 흘러내리기도 전에 땅으로 흡수되어 버리는 지역으로 항상 식수와 농업용수가 모자란다. 그러나 이 지역은 예로부터 지하관개수로를 만들어 1년 내내 물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위구르족은 보통 결혼을 하면 자녀가 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고 독립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문화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 경전을 외우며 사는 타타르족(塔塔尔族) (0) | 2015.08.19 |
---|---|
차예를 중시하는 아창족(阿昌族) (0) | 2015.08.19 |
동파문자를 사용하던 납서족(納西族) (0) | 2015.08.19 |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 중 17개의 주요 순위별 인구수와 거주지역 (0) | 2015.08.19 |
이슬람교를 믿는 회족(Huizu, 回族)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