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족은 회회민족(回回民族)의 약칭이다.
주로 감숙성, 하남성, 운남성, 산동성, 청해성, 안휘성, 신강위구루자치구 등지에 거주하며
인구는 천만 명이 넘는다.
회족은 자신들의 고유의 언어와 문자는 없고 아랍어로 된 이슬람교의 경전인 코란을 종교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거주지역은 보통 수륙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고
농업을 위주로 하며 수공업과 목축업을 겸하는 경우도 있다.
회족은 일상 생활 중에 노인을 공경하고 손님 접대를 융숭하게 하기로 이름난 민족이다.
손님이 집에 오면 먼저 차를 내오는데 ‘오향차(五香茶)’, 또는 ‘팔보차(八寶茶)’라고 하는 차를 내온다.
손님이 먼 곳에서 찾아와서 돌아가는 경우에는 마을 어귀까지 온 식구가 나와서 배웅을 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다.
회족은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돼지고기, 개고기, 낙타 및 당나귀 고기를 먹지 않으며
동물의 피가 들어간 음식도 금기시하며,
먹는 음식을 가지고 농담을 하지 않고 금기 음식을 가지고 비유하지 않는다.
예의를 중시하여 다른 사람에게 맨 몸을 보이지 않는다.
그들이 사용하는 식수가 공동 우물인 경우 우물 근처에서 세수,
빨래를 하지 않으며 우물 근처에 동물을 데리고 가서 물을 먹이지 않는다.
물을 뜨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작은 그릇의 물을 우물에 쏟지 않는다.
회족은 각기 살고 있는 지역의 특징별로 자신들이 좋아하는 음식이 각기 약간씩 다르며
약간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면을 좋아하여 면을 위주로 식사하는 회족이 있는가 하면, 고구마, 감자 등을 주식으로 이용하는 회족도 있다.
동물성 음식은 소고기, 양고기를 주로 섭취하며 각종 생선을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어느 지역에서는 비둘기를 요리하여 먹는데
특별히 몸을 깨끗이 유지해야 하는 사람의 경우는 이 비둘기 요리를 먹지 않는다.
청결을 굉장히 강조하는 회족은 그들의 종교적 특색으로 밥 먹기 전후,
흐르는 물에 반드시 손을 씻어야하고,
회족 남자의 대부분은 술을 마시지 않으며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회족의 결혼풍습은 이슬람교의 종교적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다.
여자는 9세 남자는 12세가 되면 결혼을 할 수 있다.
회족 남성은 다른 종족의 여성과 결혼을 할 수 있지만
회족 여성은 반드시 회족 남성과 결혼을 해야 한다.
회족 젊은이들은 그들의 종교행사나 연회를 통해 마음에 드는 상대를 고를 수 있다.
회족 남성은 마음에 드는 여성을 찾게 되면
자신의 부모에게 바로 얘기하고 덕망 있는 중매자를 통해 여자 집에 청혼을 하게 된다.
여자 집에서는 바로 결혼 승낙을 내리지 않고 남자 집의 부모를 보고 난 뒤에 결정을 내린다.
남자 집에서는 여자 집 부모와 만남을 통해 결혼의 의사를 타진하고
긍정적일 경우 중매자를 통해 선물을 보낸다.
여자 집에서는 남자 집에서 보내온 선물의 정도를 보고 결혼을 최종 결정한다.
선물의 정도가 마음에 들면 보통 금요일 저녁을 택해 약혼을 한다.
이때 남자 집에서 보내는 예물은 현금 1000원, 면 800근, 빌랑(열매, 약초의 일종) 1000개, 팔찌, 케이크 등이다.
선물을 받고 나면 좋은 날을 택해 결혼 날짜를 잡고 결혼식을 올린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문화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파문자를 사용하던 납서족(納西族) (0) | 2015.08.19 |
---|---|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 중 17개의 주요 순위별 인구수와 거주지역 (0) | 2015.08.19 |
대만에 살고있는 고산족(高山族) (0) | 2015.08.19 |
지도로 보는 중국소수민족 분포도 (0) | 2015.08.19 |
중국소수민족 인구분포표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