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족은 대만의 원주민을 가리킨다. 명청시대 이전에는 고산족이란 명칭이 없었다. 고산족의 명칭은1945년 이후 국민당을 따라 대륙에서 건나간 사람들이 대만에 살고 있던 원주민을 고산족이라 부르게 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는 대만의 고산에 살고 있던 극 소수의 민족을 고산족이라 불렀지만 지금은 대만의 여러 원주민을 통칭하여 고산족이라 부르고 있다. 따라서 보통 중국 정부의 인구 조사에서는 약 5000명으로 집게 되고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고산족은 약 40 여만 명으로 집계된다. 이들은 대만을 비롯하여 광동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약 10여 개의 종족으로 나누어져 민족끼리 따로 집단생활을 하고 있다.
고산족은 중국 대륙 동남쪽에 살고 있던 고월족(古越族)의 후예로 추측하고 있다. 한족의 대만 이주로 인하여 원주민들 중 일부는 평원지대에서 한족과 융합하여 거주하고 있으며 일부는 산속에 들어가 한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산속에 거주하는 고산족의 경우 민족 고유의 언어, 풍속, 습관 등의 전통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고산족의 고유 언어는 남도어계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하며 고산족 내부의 방언의 차이가 크다. 고유의 문자는 없으며 신화 전설 등 풍부한 구전문학과 독특한 문화예술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고산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며 지역에 따라 어업, 수렵, 조각, 수공업에 종사하여 주요 경제의 근원으로 삼고 있다.
고산족은 부녀자가 임신을 했을 경우 부녀자로 하여금 도끼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원숭이 고기를 먹지 못하게 한다. 남자는 여자가 사용하는 방직기계를 마음대로 만지지 못하게 하고 있다.
고산족은 지역에 따라 감자, 고구마를 주식으로 사용하는가 하면 옥수수, 좁쌀을 주식으로 사용하는 종족이 있다. 찹쌀은 대부분의 고산족이 좋아하는 곡류로 찹쌀을 이용해서 떡을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고산족은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여러 종족으로 나뉜다.
1) 포농인(布農人): 인구 3만 여 명으로 60개의 촌락을 이루며 옥산이북에 거주하는 강력한 가부장제사회의 종족이다. 여자는 결혼 전에는 아버지의 말에 따라야 하며 결혼을 하면 남편의 뜻에 따르는 3종지도를 강조하는 종족이다.
2) 배만인(排灣人): 인수 55000 여명으로 160개 촌락을 이루고 있으며 농후한 민족성을 지니고 있는 종족이다. 수공업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장자가 전통과 권력을 계승한다.
3) 노개인(魯凱人): 아리산과 신고산 이남에 거주하며 인구수는 6000 여명이며 20개의 촌락에서 살고 있다. 이들 종족의 가장 특징은 그들이 거주하는 지비의 형태이다. 石板房 이라고 하는데 널찍한 돌을 이용하여 지붕을 엮어 만든 형태로 특히한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조각, 문신, 염주로 유명한 종족이기도 하다. 모든 가정의 권력은 장남이 계승을 하도록 되어있다.
4) 비남인(卑南人): 인구수는 약 7000 여 명이며 8개의 촌락에 거주하고 있다. 대만 동쪽 평원의 주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모계사회의 영향이 남아 있어서 집안의 모든 주권은 여자에게 있다. 특히 장녀에게로 계승된다.
5) 소족인(邵族人): 일월담일대에 거주하는 종족으로 독립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생활하는 종족이다.
6) 태안인(泰雅人): 64000 여 명이며 120개 촌락에 거주하고 있으며 고산족 중에서 인구수가 많은 편에 속한다. 대만의 서쪽에서 살다가 환경이 척박하여 이주를 하기 시작하여 지금의 지역에 살고 있다. 문신으로 유명한 종족이며 남자는 수렵을 여자는 방직을 위주로 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남자의 권위가 강하고 강력한 가부장제 사회를 형성하고 있다.
7) 조족인(曹族人): 인구수가 3천 여 명으로 12개의 촌락에 거주하고 있다. 매년 2번에 걸쳐 ‘矮人祭’라는 자신들의 축제가 진행되고 있다.
8) 아미인(阿美人): ‘북방’이라는 의미로 12만의 인구가 있으며 언어와 풍속이 지역에 따라 아미인 사이에서도 크게 나타 난다.
9) 과하인(寡夏人): 가장 적은 인구수로 천여 명으로 집계되었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문화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 중 17개의 주요 순위별 인구수와 거주지역 (0) | 2015.08.19 |
---|---|
이슬람교를 믿는 회족(Huizu, 回族) (0) | 2015.08.19 |
지도로 보는 중국소수민족 분포도 (0) | 2015.08.19 |
중국소수민족 인구분포표 (0) | 2015.08.19 |
[소수민족 알아보기] 위구르족 /아창족/이족/카자흐족/회족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