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는 접속사를 연사(连词)라고 한다. 접속사를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우리말을 보자.
- (1) 그는 책과 만년필을 모두 가지고 있다.
- (2) 내가 가는 것이나 네가 가는 것이나 결과는 같다.
- (3) 그가 책을 빌리러 왔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책을 빌려 주었다.
(1)의 ‘과’는 ‘책, 만년필’과 같은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2)의 ‘~이나’는 ‘내가 가는 것’과 ‘네가 가는 것’이라는 구(句)를 연결하고 있다. (3)의 ‘그래서’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하고 있다. 중국어에도 이와 같이 단어, 구, 문장을 연결해 주는 말이 있다. 이를 접속사라고 한다.
접속사는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성분을 긴밀하게 연결한다. 그러므로 접속사로 연결되는 성분, 즉 ‘A+접속사+B’ 사이에는 부사어나 조동사와 같은 다른 성분이 들어갈 수 없다. 접속사는 병렬, 첨가, 연관(联关), 점층(渐层), 선택, 전환, 가정, 양보, 조건, 원인, 목적 등을 나타낸다.
‘与其A, 不如B’는 ‘A하기보다는 차라리 B하다’라는 뜻으로서 ‘A’보다는 ‘B’를 선호함을 나타낸다.
- 这本书很有用, 与其去图书馆借, 不如买一本。
이 책은 유용하니까 도서관에서 빌리는 것보다는 차라리 한 권 사는 것이 좋다. - 火车站不远, 与其坐公车去, 不如骑自行车。
역은 멀지 않으니까 버스를 타는 것보다는 차라리 자전거를 타는 것이 낫겠다.
'어법*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连词] ‘但是’, ‘可是’, ‘不过’ (0) | 2015.11.07 |
---|---|
접속사[连词] ‘要么A, 要么B’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还是’, ‘或者’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不是A, 而是B’ (0) | 2015.11.07 |
접속사[连词] ‘越A越B’ (0) | 201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