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족
인구는 721만 4431명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 분포하며 텐산(天山) 이남의 각 오아시스와 후난성(湖南省)
타오위안현(桃源縣), 창더현(常德縣)등에도 거주하고 있다.
위구르어는 알타이어계, 돌궐 어파에 속한다. 쭝신(中心), 허티안(和田), 뤄뿌(羅布)등 3종류의 방언이 있고 아라비아 문자를 표음문자로 사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위그루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있다.
위그루족은 중국 북서부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로 위그루라는 명칭은 단결, 연합이라는 뜻이다.
위구르족은 농업 민족으로서 주로 오아시스 관개 농업위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거주지는 칸얼징을 중심으로 하는데 ,
칸얼징이란 산 위로부터 산아래 밭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우물을 파고
그 바닥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물길을 파서 산 위에서 눈이 녹은 물과 지하수를 흘러 들 게 하여 관개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위그루족은 면을 주식으로 먹으며 고기를 좋아한다.
우유차와 홍차를 즐기며 특히 과일을 많이 먹어 심지어
겨울에는 미리 말려 놓은 과일을 먹는다.
그리고 유제품은 그들 생활에서 떼 놓을 수 없는 그들의 부식이다.
신중국 성립후 1955년 10월 1일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설치되어
국가의 원조하에 위그루족과 각 민족은 자치구의 공업과 농업 및 각 분야에 큰 발전을 이루었다
아창족
인구는
2만 7708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더홍(德宏)타이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롱촨현(隴川県), 량허현(梁河県)에 분포하고 소수가
양짱현(盈江県), 루시현(潞西県), 루이리현(瑞麗県)과 보샨지구(保山地區)의 롱링현(龍陵県), 통충현(騰沖県)에 분포하고 있다.
아창족은
중국운남 경내에서 최초로 살아온 민족으로 고대 한문사의 기재에 따르면 이 민족은 峨昌, 娥昌,莪昌,阿昌,棋昌(모두 아창으로 발음)등의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모두 각각 다른 시기에 불려진 이름들이다. 신중국 성립 후 아창족이라 명명했다.
아창족은 아창족만의 언어를 사용한다.
아창어는 한(漢) ·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미얀마어분지에 속하고 3개 지구의 방언이 있으며 문자는 없다. 이들은 보편적으로 소승불교를
신봉하고 있다.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해 정교하며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장식, 은학, 쟁반 등의 조각도 매우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고,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아창족은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 음식을 좋아하며 빈랑 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 백색, 흑색의 맞섶저고리와 검은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으며 미혼 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 여성들은 단 4개의 단추 위에 나란히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 은목걸이, 은귀걸이를 장식한다.
이족
인구는
657만 2173명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꾸이저우성(貴州省), 광시(廣西) 쫭족(壯族) 자치구 등, 4개의 지역에
분포한다.
이어는 한·티벳어계의 티벳·미얀마 어족, 이어에 속하며 6종류의 방언이 있다. 한민족과 자주 접하는 이족은 한문어(中國語)에
능통하다.
예전에 이족들 사이에서는 다신숭배가 유행했으나 청(淸)조 초기에는 도교가 번성했다. 19세기 말에 카톨릭, 크리스트가
전래되었지만 신앙하는이가 적었다.
이족은 중국에서 비교적 거주지역이 넓고 유구한 역사를 가진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이족의 조상은 중국 남서지구에 거주했는데 이들의 조상은 샤시(陝西), 간쑤(甘肅), 칭하이(靑海)에서 거주하다가 치앙족(羌族)의 분파가 남하하자
남서 지구의 원주민 부락인들과 융합해 이족을 형성했다.
이족은 오랫동안 노예제도를 유지해왔다. 20세기에도 일부지역에는 여전히 노예제도가
남아있었으나 신중국 성립후 민주 개혁을 단행하여 구제도를 타파했다.
이족은 거주지역에 따라 불리는 호칭이 다른데, 그 예로 누오수(諾蘇),
나수(納蘇), 뤄우(羅武), 뤄뤄(羅羅), 미사포(米撒潑), 사니(撒尼), 아시(阿細, 阿西)등이 있다.
훠바지에 : 음력 6월
24일이면 윈난의 모든 이족들은 햇불 축제를 연다. 이날은 이족 달력으로 새해 첫날이다. 주요 행사는 밤에 열리는데 내년의 행운을 기원하는
새해의 제물로 횃불에 불을 붙인다. 또한모닥불을 지피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 축제 기간동안에는 소 싸움, 씨름, 말 경주 등이
벌어진다.
차와/따거지에 : 자연의 정원이라 이름 붙여진 윈난은 어디를 가나 사계절 꽃이 지지않는 곳이다.이족이 사는 해발
3,600m에 위치한 따야오에서는 대지가 신선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뒤덮이는 음력 2월 8일에 꽃 축제가 열린다. 모든 종류의 꽃을 따 모아 꽃
기둥과 오두막을 만들고, 집과 농지 심지어는 행운과 수확 그리고 번영을 뜻하기 위하여 소와 염소의 머리에도 꽃을 꽂는다. 이족은 건강과 행복의
기원으로 서로 꽃을 선물 한다. 3일 동안 이 날을 기념하며 친구를 사귀고 우정을 증진한다.
싸이이지에 : 윈난성의 따야오에서는
매년 음력 3월 28일에 옷 자랑 축제가 열린다. 전설속의 미보롱이라는 이족 소녀를 기념하기 위한 축제라고 한다. 그녀는 자신을 희생하여 사악한
사람을 제거하고 는 죽은 후에 아름다운 새가 되었다 한다. 축제기간동안 이족 소녀들은 여러 벌의 옷을 준비하여 샨따이지역에 모여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둥글게 모여 서서 땅위에 소나무 가지를 던지며, 젊은 남자들이 연주하는 악기 반주에 맞추어 손에 손을 잡고 춤을
춘다
카자흐족(哈薩克族)
인구는 111만 1718명
카자흐족(哈薩克族)은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이리카자흐(伊犁哈薩克)자치주, 무레이카자흐(木壘哈薩克)자치현, 빠리쿤카자흐(巴里坤哈薩克)자치현에 분포하고 소수가 간쑤성(甘肅省) 아크싸이카자흐(阿克賽哈薩克)자치현에 분포하고 있다.
카자흐어는 알타이어계, 투르크 어파, 시쑝어(西匈語支)에 속한다. 남서, 북동 등 2개의 방언이 있다.
카자흐 문자는 표음문자로 19 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이다. 구소련 무렵인 1954년에 2차례나 개정됐다. 이 문자는 아라비아 문자를 기초로 한다.
카자흐족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카자흐족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카자흐족의 조상은 한(漢)대에 톈산(天山) 남북에 살고 있던 우쑨(烏孫-기원 전 2 세기~서기 2 세기) 사람들로 한대 이후의 돌궐(6 세기 중엽), 거루오루(葛邏祿), 후이구(回鶻--10~12 세기), 하츠치단(哈刺契丹--12 세기), 커리에(克烈), 나이만(乃蠻), 친차(欽察--13 세기) 등과도 관계가 있다. 이 민족의 명칭은 15 세기 중엽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그 때의 카자흐족은 카자흐한구오(哈薩克汗國)를 세웠다. 카자흐족의 민간 전설에 의하면 카자흐라는 말은「흰 거위」라는 뜻이다. 카자흐를 중국 고대의 허싸(曷薩), 아싸(阿薩), 크싸(可薩)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전사(戰士), 자유인(自由人), 이탈자(離 脫者)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카자흐족은 소수만이 농업에 종사 하며 그외의 대부분은 목축업에 종사 해 1년 내내 아름다운 초원에서 생활한다. 그들에게 있어 방목이나 운송, 멀리 이동하는데 있어 말을 빠뜨릴 수는 없다. 카자흐족은 누구나 준마를 타는 것을 명예로 여기며 「기마민족」인 것을 자랑으로 삼는다. 카자흐족에게 있어 이리말은 그들의 자랑이며 2000여년 전 이리말은 강함과 아름다움으로 한(漢) 무제때에 「천마」라고 불렸다.
회족
인구는 860만 2978명주로 닝샤후이족(寧夏回族)자치구에 집중 거주하는데 간쑤성(甘肅省), 칭하이성(靑海省), 허난성(河省), 허뻬이성(河北省), 산둥성(山東省), 윈난성(云南省) 등지에 규모는 다르지만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구역이 있다. 회족은 폭넓게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소수민족이다. 후이족은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왔기 때문에 한문어를 사용하고, 그 외의 민족과 생활하고 있는 후이족은 그 민족의 말을 사용한다. 후이족 중 소수는 아라비아어와 페르시아어에 능통하다. 후이족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윈난성의 후이족은 원조 초기에 이주하여 왔다. 원조시대에 운남에서 권력을 잡고있었던 후이족 관리인 샤이 디안친쟌시딩이 운남의 소수 민족들에게 쿤밍지역의 수자원 보호를 위하여 관계시설을 건설하라고 명령하였다. 운남에서 출생한 황실의 환관인 대회족항해사 젱허(Zhenghe)는 7차례 이상이나 대서양을 여행하기 위하여,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선단을 이끌었었고, 국제적으로 경제와 문화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30여개국 이상을 방문하였다. 후이족은 농업과 무역을 중시했으며, 수공예품의 질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문화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로 보는 중국소수민족 분포도 (0) | 2015.08.19 |
---|---|
중국소수민족 인구분포표 (0) | 2015.08.19 |
소수민족 미녀 - 티베트편 (0) | 2015.08.19 |
이슬람 민족 동향족(東鄕族) (0) | 2015.08.19 |
중국 소수민족 축제 체험하기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