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동성 결혼문화
중국의 결혼문화는 각 지역, 민족에따라 틀리다.
결혼은 가장 큰 경사로서 ‘상견래’, ‘약혼’등 절차를 거친 후 양측에서 결혼날짜를 상의하여 결정진다.
산동성도 각 지역마다 약간 다르긴 하나
예전에는 일반적으로 풍악대를 대동하여 꽃 가마로 신부를 맞는것이 일반적이었다.
결혼식을 치르는 날,
아침일찍 풍악대가 신랑집에와서 먼저 대문을 향하여 연주하는데
“고문(鼓門-문을 두드린다)”이라고 한다.
연주를 듣고 신랑집에서 대문을 열고 풍악대를 맞이하며 풍악대는 동방(洞房-신방)에가서 연주한다.
그 다음 아침식사를 마치고 신랑은 옷차림을 하고 꽃 가마로 신부 마중을 떠난다.
신부는 보통 두루마기, 마고자를 입고 머리에는 과피모(瓜皮帽)를 쓰고 가슴에는 빨간 꽃을 꼽고 꽃 가마에 앉는다.
신부를 맞이하는 가마는 보통 2개인데 신랑이 앉는 가마는 관리 가마, 신부가 앉는 가마는 꽃 가마라고 한다
꽃 가마가 신부집 앞에 도착하면 풍악대는 신부집 대문을 향하여 연주하고 신랑이 신부집으로 들어간다.
어떤 지방은 신랑이 먼저 신부집의 조상과 가장에게 인사를 하며
어떤 지방은 신랑이 잠시 휴식을 취하고 술상을 차리면 신부를 맞이하는 일행과 신부집 손님들이 함께 술을 마시며
신부가
화장을 마칠때까지 기다린다.
신부가 화장을 끝마치면 풍악대가 음악을 연주하고
신부집은 빨간색 천을 바닥에 펴고 신부의 형제들이 신부를 의자에 앉혀 꽃 가마까지 바래는데
‘처가집의 흙을 밟지 않는다’는 뜻이다.
꽃 가마에 오르기 전 모녀가 함께 울고 꽃 가마에 오른 후 많은 지방에서 물을 뿌리는 풍속이 있는데
“시집간 딸, 뿌리는 물과 같다(嫁出的女儿,泼出去的水)”는 뜻이기도 하다.
산동성 린쥐현(臨腒縣) 경우는 신부의 동생들이 물 한그륵을 떠서 신부에게 주는데
송탕(送湯) 이라고 하며 신부가 시집가기 전 동생들이 마지막으로 시중든다는 뜻이다
가마가 신랑의 마을까지 도착하면 풍악대가 먼저 징을 울??나팔을 분다.
신랑집에서 마중나오고 신부의 가마를 드는 사람들은 가마를 양쪽으로 흔드는데
이를 “압가(壓街-거리를 누르다)라고 한다.
신랑집까지 도착하면 천지, 신령과 어르신들게 절하는 의식을 진행한다.
천지를 모시는 책상은 응접실 문앞에 두고 신랑은 서쪽, 신부는 동쪽에 서고
사회자의 지시에 따라
일배천지,
이배고당,
부부맞절
(一拜天地,二拜高堂,夫妻对拜)을
마치고 동방(洞房-신방)에 들어간다
신랑은 빨간색 비단으로 신부를 이끌로 동방(洞房-신방)까지 들어가며
신랑은 책상위의 붉은 보자기로 싼 저울대를 이용하여
신부머리위에 가린 빨간 수건을 벗겨 침대에 깔고 앉는데
신부의 악음을 없앤다는 뜻이다.
그리고 신랑집에서
밤, 대추, 낙화생등을 가져와 “밤 한줌, 대추 한줌,
내년에는 아들을 낳는다 (一把栗子一把枣, 明年生个大胖小)”라고 중얼거리며 침대위에 뿌린다.
낮에 결혼식을 치르고 저녁이 되면 “합근주(合卺酒)”를 마시는데 보통
"교심주(交心酒)"、
"교배주(交杯酒)"、
"합환주(合欢酒)"、
"합혼주(合婚酒)" 등 으로도 불리운다.
신랑신부는 빨간선으로 묶어놓은 술잔을 하나씩 들고 같이 마신다.
합방 전 신랑 친구들이 신랑, 신부와 함께 놀이를 하는데
이를 “鬧洞房-신방을 방애한다”이라고 한다.
'中國 문화배우기 > 中國 결혼문화_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남성과 결혼 한국女 10년간 10배 증가,왜? (0) | 2015.08.18 |
---|---|
결혼식에 엄청난 폭죽을 (0) | 2015.08.18 |
중국인의 아내에 대한 별칭 (0) | 2015.08.18 |
대륙의 결혼식 풍경 (0) | 2015.08.18 |
사천미술학원장 자녀 결혼식 풍경 (0) | 201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