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 상세 정보
- 국가 알제리(Algeria)
- 위치 바트나 주(Wilaya province of Batna)|||팀가드(Commune of Timgad)
- 좌표 N35 27 0|||E6 37 59.988
- 등재연도 1982년
- 등재기준
기준 (ⅱ) : 로마의 군사 기지로, 모범적인 도시 계획과 특정한 형태의 민간 건물, 군사 건축물 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로마의 중앙 세력이 고대 알제리의 고원 지대를 식민지화하는 데 활용한 사상과 기술, 전통의 중요한 연관 관계를 반영한다.
기준 (ⅲ) : 격자 도시 계획을 중심으로 하는 로마식 도시 계획의 지침을 적용해 건설한 도시 모형의 전형적 사례이다. 군사 기지로서의 초기 계획은 계속 유지되면서 그 후로도 이 유적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는 사라진 로마 문명의 군사 기술자들이 보유했던 독창적 건축 기술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기준 (ⅳ) : 팀가드 고고 유적은 3세기 동안 로마가 북아프리카를 식민지화하면서 형성된 도시와 그 역사를 보여 준다. 다양한 상징들로 구성된 건축학적 요소를 풍부하게 지니고 있으며, 방어 체계뿐 아니라 공공의 편의를 위한 건축물과 종교 건물 단지 등은 이 유적이 건설된 다양한 역사적 단계와 연관되어 있다.
요약(내용)
아우레스 산맥 북쪽의 아름다운 산지에 있는 팀가드 고고 유적은 불모지에 세운 로마 군사 식민지의 완벽한 사례로서 트라야누스 황제가 서기 100년에 ‘탐무가디’라는 이름으로 건설하였다. 각 면이 355m인 정사각형의 성벽 내부에 있는 도시의 배치는 동서대로와 남북대로를 근간으로 세밀한 직각의 격자 형태이며 두 대로가 도시를 관통한다. 이러한 로마식 도시 계획은 로마 전성시대의 훌륭한 사례이며, 누미디아 영토에서 ‘웅장한 로마의 이미지’를 강력하게 실현하였다.
동서대로는 테베스테(Theveste, 지금의 테베사)에서 람베시스에 이르는 군사로의 축을 따랐다. 그 결과 같은 크기를 가진 집단 주택들이 건축되어 있다. 그러나 남쪽 지역에는 대규모의 공공건물터를 잡기 위해 격자 형태로 짓지 않았다. 남쪽 지역에는 포럼과 바실리카, 쿠리아 집회소 등의 부속 건물, 사원, 3,000석 규모의 극장, 시장과 목욕탕 등의 공공건물이 있다. 북동 구역에는 다른 목욕탕과 공공 도서관이 있었고, 집단 주택들과 연결되는 남북 대로를 향한 입구가 있었다.
2세기 중반부터 도시가 급속히 발달해 성벽의 경계를 넘어 도시가 발전하였다. 팀가드는 성벽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었다. 새로운 구역의 서쪽과 남쪽에 카피톨리움, 사원, 시장, 목욕탕 등의 주요 공공건물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건물의 대부분은 이 도시의 황금 시대였던 세베루스 황제의 통치기에 건설되었는데, 세르티우스의 저택 및 헤르마프로디테(Hermaphrodite)의 저택과 같은 대규모 개인 주택들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이다.
제국 초기에 건물들은 자주 재건되었고, 거리는 큰 사각형의 석회암 석판으로 포장되었으며 공공 편의를 위해 각별히 주의를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주택들은 값비싼 대리석을 대신해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화려한 모자이크로 장식했다. 기독교 시대에 이곳은 주교 교구였으며, 4세기 말에 오프타트(Optat) 주교가 이단인 도나투스파(Donatist)의 대변인이 되면서 유명해졌다. 430년에 반달족의 침공을 받아 도시는 몰락하였고, 5세기 말경 토착민인 아우레스 산악족(Aurès mountain)에 의해 파괴되었다. 그러나 539년에 비잔티움 제국의 재정복으로 도시의 기능이 잠시 살아났지만, 아랍인의 침공으로 도시는 결정적으로 파멸했다. 8세기 이후에는 사람들이 완전히 떠나 도시로서의 기능을 잃었다.
'★ World*Trip > UNESCO♠HERIT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이 국립공원 [Sangay National Park] (0) | 2015.12.31 |
---|---|
갈라파고스 제도 [Galápagos Islands] (0) | 2015.12.31 |
티파사 고고유적 [Tipasa] (0) | 2015.12.31 |
지에밀라 [Djémila] (0) | 2015.12.31 |
음자브 계곡 [M'Zab Valley] (0) | 2015.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