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4대 명산의 하나인 구화산은 안휘성 청양현 서남쪽에 위치해 있다. 산봉우리가 99개, 면적이 100여㎢에 이르며, 정상인 십왕봉은 1,342m이다.
원명은 구자산인데 후에 시성 이백이 멀리 뭇봉우리들을 바라보며 "소유이분기, 경산개구화"이라는 명구를 써서 이름을 구화산으로 고쳤다. 산에는 계곡폭포, 기암 괴석, 오랜 동굴, 푸른 소나무와 대나무가 많아 산수 경치가 독특하고 아름다우며 명승 고적들이 도처에 분포되어 있어 예로부터 동남제일산으로 불리고 있다. 구화산의 불사 활동은 동진 융안5년(서기401년)에 승려 배도선사가 이곳에 사원(복호암)을 건조하고 전도를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불교의 전래에는 분경대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불교와 도교가 서로 도가 높다고 다투었기에 남조 양문제는 불교 경전과 도교 경전을 함께 불사르게 했는데, 도교 경전은 재더미가 되었지만 불교의 경전은 그대로 남아있어 그후 불교가 널리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구화산이 불교 명산으로 이름난 것은 신라 왕자 김교각 스님이 이곳에서 수행하면서 부터이다. 당나라 개원년간(719년) 왕권쟁탈에 환멸을 느낀 신라국 승려 김교각이 이곳에 와서 도를 닦았는데 그가 입적한 후 승도들이 그를 지장보살 화신으로 받들어 구화산을 지장왕 도량으로 개척하였다. 김교각 스님은 구자암, 연화봉 일대의 동굴 속에 거주하셨는데, 무주동, 타좌석 등은 바로 그 흔적들이라고 한다. 천대봉 일대에도 동굴이 있고 고배경대는 스님이 송경하던 곳이며, 성전봉의 일숙암은 스님께서 하룻밤을 묵으셨던 곳이고, 신광령과 동아봉 일대가 스님께서 가장 많이 머무신 곳이다.
그 후부터 이곳에 사찰이 수풀처럼 일어서게 되었다. 구화산 유람객들은 늘 화성사, 육신보전, 천대사, 상선당을 참배한다. 옛적 구화산 민원협곡에는 민양화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대부호로서 구화산 지역의 삼림을 가지고 있었으며 천성이 선량하고 남을 돕기를 즐겼으며 벗을 널리 사귀었다. 어느날 스님이 민공 앞에 나타나 수행할 장소를 구하며 가사를 펼칠 만한 크기의 땅을 바라자 민공은 얼마나 큰 땅이 될까하여 이를 허락하는데 스님이 가사를 공중에 뿌리자 구화산의 99개 봉우리를 모두 덮어버렸다. 민공은 보살현령을 깨닫고 구화산을 스님께 바쳤을 뿐만아니라 자기의 아들인 도명을 스님의 제자로 바치고, 뒤이어 자기도 스님의 제자가 되었다.
또 스님이 동아봉 큰 돌위에 앉아 염불하고 계시는 동안 독벌레에 물렸으나 자세도 흐트러지지 않고 아무런 잡념이 없었다. 이에 산신이 감동하여 미인으로 둔갑하여 약을 갖다 드리고, 맑은 샘으로 사죄하였다. 이때부터 스님이 앉은 돌에서 샘이 솟았다고 한다. 당숙종년간에는 제갈절 일행이 석굴에서 면벽하고 계신 스님을 보았는데 스님의 발우에는 백토와 소량의 쌀이 담겨져 있었다. 그들은 이에 깊이 감동하여 돈을 모아 화성사를 지어 교각 스님께 바쳤다고 한다.
화성사는 구화산의 개산사원으로서 장엄하고 고박하며 기세 웅장하다. 화성사 건립 이후 스님의 명성은 널리 알려져서 찾아오는 승려 신도들이 끊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스님은 승려들을 거느리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양식을 자급자족하였다.
794년 99세의 김교각 스님은 제자들을 불러놓고 열반에 드셨다. 문도들이 어찌할 바를 모르는데 갑자기 산이 진동하고 돌이 굴렀으며 종을 치니 종이 소리없이 땅에 떨어지고, 지붕의 서까래도 크게 훼손되었다. 교각 스님이 열반하자 제자들은 스님을 큰 항아리에 모시고 뚜껑을 봉했는데 3년이 지난 후 안장하려고 개봉하여 보니 옷은 부패하였지만 살은 그대로이고 얼굴색은 생전과 꼭 같았다. 관절에서는 쇳소리가 났는데 석탑 속에 육신을 안장할 때 신비한 빛이 감돌았다.
현재 사원에는 명나라의 유지, 역대 황제가 하사한 금인과 명나라 판본의 장경 6천여 권 및 청나라 범문 패엽경 등 진귀한 문물들이 소장되어 있다.
육신보전은 김교각이 99세를 일기로 이곳에서 입적한 후 얼굴이 산 사람같아 명나라 신종황제가 <호국육신보탑>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여 얻어진 명칭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천대사는 김지장이 거주하던 고찰이라고 한다. 산세를 따라 지은 5층 누각으로 법당 내의 대들보와 벽제 사이에는 작은 목불들이 걸려있다. 육신전 아래에 있는 상선당에는 진기한 금사천, 금전수가 있는데 이는 이백의 고주전이 변하여 생겼다고 한다. 구화산의 유명한 사원에는 많은 승려들이 매일 염불을 하고 아침/저녁으로 수행을 하고 있는데 불교 분위기가 매우 농후하다. 음력 7월30일은 지장보살의 탄신일로서 많은 사원에서 불사활동을 행하여 전통적인 구화산제로 형성되었다.
승려와 참배자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향을 피우고 참배를 하며 민간에서는 등불놀이, 죽마놀이, 꽃불 올리기, 고대극 공연을 하고 시장에서는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불사활동은 한달동안 계속된다.
청나라 말기 불교가 제일 번성할 때 구화산에는 300여 개의 절이 있었으며 승려는 5천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현재는 84곳의 사찰이 보존되어 있으며, 6000구의 불상과 1300여 건의 유물이 남겨지고 있다.
연꽃 불교의 나라-구화산 (九華山)
동남제일산(東南第一山)이라고 불리우는 구화산은 환남(晥南안휘성남부) 청양현(靑陽懸)에 위치. 산중에는 99개 산봉이 서로 아름다움을 다투는데 천대(天臺), 련화(蓮花) 등 9산봉이 가장 이름있다. 산봉 전체 모양이 연꽃같아 연화의 화(花)를 땄는데 화(花)자와 화(華)가 음이 같아 구화산(九華山)이라고 이름지었다. 구화산은 산봉이 첩첩하고 삼림이 깊고 물이 맑으며 푸른대나무와 소나무가 울창창하고 자연풍경이 유정하고 아름답다. 당(唐)나라때, 이백(李白)이 구화산을 다녀온적이 있다. 이백은 구화산이 산좋고 물 맑아 경치가 기이하게 아름다운것을 보고 경탄을 금치 못하며 시구를 남겼다. "구강(九江)에서 구화봉(九華峰)을 멀리 바라보니 천하(天河)에 푸른 은하수 걸린듯하고, 그가운데 아홉송이 연꽃이 피어난듯 하다네 " "구화산의 이름난 명소로는 천대효일(天臺曉日), 오계산색(五溪山色), 도암폭포(桃岩瀑布), 서담인월(舒潭印月),구자천성(九子泉聲),련봉운해(蓮峰云海), 평강적설(平崗積雪), 동애안좌(東崖晏坐), 천주선적(天柱仙迹),화성만종(化城晩鐘) 등 10경.
구화산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의 도장(道場), 자고로 불교 신도들이 선망하는 이상경지(境地), "구화 (九華)1000개 사원, 구름과 안개속에 있다"는 묘사가 있다. 동진시대(東晉時代), 천죽(天竹)스님이 바다 건너 이 산에 와 경학을 전수하고 암자를 세웠다. 당(唐)나라이후, 불교사원들이 여기에 속출, 전성시기 "구화천사(九華千寺)"라는 설이 있었으며 "연화불국(蓮花佛國)"으로 불리웠다. 명(明), 청(淸) 두 조대 불교발전의 전성기에 중국 4대불교명산의 하나로 되였다. 현존 사원 84채, 불상 6400여존, 이름난 사원들로는 감로사(甘露寺),지국사(祗國寺), 동애사(東崖寺), 백세궁 사대종림 (百歲宮四大慫林), 화성사(化城寺), 육선전(肉身殿),통혜암(通惠庵), 배경당(拜經堂), 천대사(天臺寺), 혜거사(慧居寺) 등이다. 각 사원에 수장된 진귀한 문화재는 2000여점, 잘 보존되고 그 수가 많아 4대 불교명산중 으뜸이다.
중국은 불교문화가 아주 깊은 나라입니다. 하여 먼 옛날부터 지금까지 많은 승려들이 경치가 수려하고 아늑한 심산 속에 들어가 수련하였으며 이로부터 산은 불교로 하여 이름이 나고 불교는 산으로 하여 산만큼 이 세상에 뿌리를 깊이 내리게 되었습니다.
중국에는 사대 불교 명산이 있습니다. 이 사대 불교 명산으로는 산서성의 오대산, 사천성의 라미산, 절강성의 보탑산과 안휘성의 구화산인데 모두 경치가 아름답고 향불이 끊기지 않는 곳들입니다.
오늘은 이 사대 불교 명산중 연꽃 불교의 나라라고 이름난 안휘성 구화산을 가보겠습니다.
중국 중부의 안휘성 서부 청양현에 위치한 구화산은 그 둘레가 120평방킬로미터에 달합니다. 해발이 1200여 미터 정도인 구화산은 그리 높지 않은데 산봉이 약 30개 정도 있습니다. 최고봉의 해발고도 1342미터밖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산은 높고 낮음이 기준이 아니라 신선이 있으면 유명해진다는 옛말도 있습니다.
구화산은 두 사람에 의하여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은 1300여 년 전 당나라때 시인 리백이고 다른 한 사람은 당 나라 때 중국에 온 신라-지금의 한국인 신라 왕자 김교각입니다.
시의 신선으로 불린 리백은 이곳에 와서 이 산을 보고 시흥이 도도하여 많은 시를 썼고 구자산이라는 원래의 이름은 구화산으로 고쳤습니다. 리백은 아홉 개의 산봉을 가진 이 산이 연꽃과 같다고 해서 구화산이라고 이름을 고친 것입니다.
신라 왕자 김교각이 이 구화산에 도착한때는 24살 때였습니다. 이곳에서 일생동안 수련한 김교각이 원적했을 때 그의 시체는 3년 동안 썩지 않고 그대로 있었습니다. 하여 사람들은 그가 불경에 나오는 지장보살이 회생한 것으로 인정했으며 이로부터 구화산은 지장보살 도장으로 되었습니다.
리백과 김교각으로 하여 구화산을 후에 연꽃의 불교 나라로 불리게 되었으며 많은 불교 신자들과 여행자들이 이곳을 찾게 되었습니다.
구화산에 이르면 주위가 모두 푸름에 싸인 것을 보게 됩니다. 그 푸르른 산속에 가끔 노란 벽에 검은 기와의 건물이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사찰들입니다.
김교각은 바로 이런 사찰에서 75년을 수련하고 99살 때 원적했다고 합니다. 그의 시체는 도자기로 만든 용기 안에 안치되었는데 3년 후에도 여전히 살아 있는 듯 변함이 없어 불교에서 말하는 수행의 극치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구화산은 기후가 비교적 습한 곳입니다. 일반 백성들은 태양만 나오면 이불들을 내다 볕쪼임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람의 시체가 썩지 않는다는 것은 현재 장악한 과학지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것입니다.
사서 기재에 의하면 구화산에서는 썩지 않는 시체가 14구 나왔습니다. 이 구화산에서 현재 직접 볼 수 있는 썩지 않은 시체는 5구입니다. 그 중 김교각의 육신은 1200여 년 전에 한 백옥으로 된 석탑 안에 안치되어 육신 보전 안에 모셔져 있습니다.
지장산사안에는 가사를 걸친 야윈 노인의 조각상이 있습니다. 그는 1991년에 원적한 자명대사인데 그는 자신의 시체를 불에 태우지 말라고 제자들에게 말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자들은 그의 유체를 독안에 안치했습니다. 원래는 3년 뒤에 그의 유체를 독안에서 꺼내야 하는데 제자들이 그만 잊어버리고 4년이 지난 뒤에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1995년 제자들이 독 뚜껑을 열었을 때 자명 대사의 옷은 다 썩었지만 그의 육신은 하나도 부패하지 않고 생전과 똑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습니다.
구화산 정상의 백세궁에는 300여년을 보존해온 무하스님의 육신도 있습니다.
케블카를 타고 산으로 오를수록 산세는 점점 더 험해지고 산봉들 사이로 구름바다가 형성됩니다. 그 아래로 검은 기와에 흰 벽의 건물들이 유난히 눈에 띕니다.
더 올라 해발 1200미터의 고 배경 대에 이르면 속세를 멀리 벗어난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전한데 의하면 고 배경대는 김교각이 구화산에서 불교 경서 [화엄경]을 읽던 곳인데 그는 한 자를 읽고는 한번 절을 했다고 합니다. 그야말로 경건함의 극치인데 그가 무릎을 꿇고 경을 읽은 곳에는 지금도 커다란 발자국 자리가 남아 있습니다.
'중국(中國)여행 > 화중[華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관광지/강소성/소주] 소주 시대광장 (0) | 2015.09.17 |
---|---|
[중국관광지/강소성/남경] 난징(南京) 난징 첸후 호수공원 (0) | 2015.09.17 |
[중국관광지/절강성] 우쩐(乌镇)의 아름다운 풍경 및 야경 (0) | 2015.08.15 |
[중국관광지/강서성] 중국의 그림같이 아름다운 시골마을 월량만(月亮湾) (0) | 2015.08.15 |
[중국관광지/절강성/항주] 중국 10대 관광도시 항주(杭州)의 아름다운 전경 (0) | 2015.08.15 |